매일 잘 자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책 - 망가진 수면 패턴을 회복하는 8주 숙면 훈련
제이드 우 지음, 제효영 옮김 / 심심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잠을 자지 못하는 일이 크나 큰 고통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에 불면증에 시달리는 가족이 있는 저는 마음 한 구석이 늘 무겁습니다.

그런 저에게 신기하고 반가운 '매일 잘 자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책' 이 나타났어요. 


 '매일 잘 자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책' 의 저자는 행동수면의학의 분야의 공인 전문가로 의과대학에서 불면증 환자들을 치료하는 전문가로 활동중이며,  '매일 잘 자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책'

을 통해 불면증을 개선할 효과적인 숙면 훈련 프로그램을 소개하면서 숙면에 관한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고, 수면을 든든한 친구로 삼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잠이란 것은 너무나 복잡한 것이라 단순하게 정의 내릴 수 없어요.

과학자들은 수백 년 전부터 잠을 연구했지만 아직도 잠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계속 연구를 하고 있다고 해요.

지금까지 밝혀진 사실은,

① 잠은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현상이며 대체로 간격이 규칙적입니다.

② 잠들면 깨어 있을 때보다 주변 환경에 덜 반응하나 혼수상태일 때보다는 반응성이 큽니다. 

③  자는 동안에 나타는 뇌 활성은 깨어 있을 때와 차이가 있습니다.

④  오랫동안 잠을 제대로 못 자면 기분이 나빠지거나 건강과 신체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합니다.


인생을 살면서 어쩌다 잠들지 못하거나 잠든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심각한 정도에 이르면 불면증이라고 하는데, 누구나 겪을 수 있지만, 문제는 불면장애라고 하는 만성 불면증이에요.

저희 엄마에게 붙여진 병명이기도 해서 곰곰히 생각해 보면서 읽어보았는데, 

수면장애라는 것이 엄청나게 다양하기 때문에, 

책에 나와 있는 내용과 현재 겪고 있는 상황을 매치시켜 생각해 보는게 어려운 일이더라구요. 

아주 개인적이고 심층적으로 파악해서 다뤄야 하는 것이 맞는 것 같아요.



 '매일 잘 자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책' 의 2부 잠과의 관계 되돌리기에서 생리학적인 수면 상태와 생체 시계를 원점으로 되돌려서 잠과 처음부터 다시 건강한 관계를 맺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3부 잠과 더 깊은 관계맺기에서는 잠을 생각하는 방식과 수면 관련 행동을 더 깊이 파헤치고, 수면에 도움이 안 되는 습관을 속속들이 파악하는 법을 소개하고 있기 때문에 이 책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생각의 유연성을 키워 잠과의 관계가 회복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되어 있는 것이 인상적인데 간단히 정리해 볼게요.

불면증은 불행을 자초하는 생각이 계속되게 해요. 이럴 개선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1단계 : 잠에 관해 자동으로 떠오르는 생각을 인지하고

2단계 : 잠에 관해 자동으로 떠오르는 생각을 따져봐요. 

3단계 : 관점을 유익한 방향으로 바꾸는 연습을 해요. 



'매일 잘 자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책' 에서 단계별 수면 솔루션에 대해 설명하면서,

어려운 점이 무엇인지 잘 짚어 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크라테스 대화법, 5-4-3-2-1연습법, 마음챙김 호흡법, 몸 살피기 등의 다양한 팁을 제시해 주고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됩니다.



얼마 전, '잠'이라는 영화를 보고 사람이 잠을 자지 못하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남편과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어요.

불면의 고통은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헤아리기 힘들죠.

사회적 동물인 사람은 여러 관계속에서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스트레스로 인해 파생되는 질환 중에 하나가 불면증이 아닐까 싶어요.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잘 자고 나면 사라지는 것도 스트레스죠.

살아 있는 모든 생물에게 있어 잠이 주는 의미는 엄청 난 것 같아요. 

'매일 잘 자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책' 을 통해 숙면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시간을 가져보세요.



심심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 입니다
#매일잘자고싶은사람들을위한책 #심심 #제이드우 #HelloSleep #수면패턴회복8주훈련 #숙면 #수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