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질문으로 시작하는 생태 감수성 수업 - 119가지로 질문하는 열두 달 환경 인문학
최원형 지음 / 블랙피쉬 / 2024년 7월
평점 :
다양한 생물의 생태를 알수록 우리의 삶도 여러 삶 가운데 하나일 뿐이라는 자각이 들고,
바로 이런 자각이 생태 감수성의 출발이 아닐까 해요.
인간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지구에 살아가는 생명 하나하나가 어떻게 살아가는지 알면 알수록 그들이 온전히 살아갈 수 있길 바라는 마음이 생기고 그들의 서식지를 지켜 주고 싶은 간절한 마음이 들게 됩니다.
'질문으로 시작하는 생태 감수성 수업'의 저자 최원형 작가는 자연 탐구자로서 생긴 궁금증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에서 수많은 오해가 이해로 바뀌면서 역자사지의 마음의 길이 생겼다고 해요.
떠오르는 질문에 스스로 답을 찾는 과정에서 수많은 오해가 이해로 바뀌었어요.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이 이 점이라고 생각해요.
1년 12달 자연 생텨 현상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는 과정에서 과정에서 생태계 원리를 둘러싼 과학적 지식 뿐만 아니라,
묻고 답하는 과정을 통해 책을 읽는 독자도 함께 이해를 하게 만들게 한다는 점이예요.
꼬리에 꼬리를 무는 119가지의 능동적인 질문을 따라가다 보면,
새로운 사실을 만나게 되고 내가 알던 그 생물이 예전의 생물로만 보이지 않게 되니 말이죠.
1년 12달, 달별로 12개의 챕터가 나뉘어져 있어서 계절에 따른 생물 이야기를 살펴볼 수 있어요.
누구나 한 번쯤 생각해 봤을 질문부터 예상하지 못했던 질문까지
그에 대한 해답을 답을 제시해 주면서 생태계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어요.
'질문으로 시작하는 생태 감수성 수업'를 읽으며 제가 흥미로웠던 질문들이에요.
- 하우스 비닐은 투명한데 밭에는 왜 검정 비닐을 씌울까?
- 사투리 쓰는 매미도, 새처럼 아름다운 소리로 우는 매미도 있다고?
- 갈등이라는 말이 식물에서 유래했다고?
- 길고양이에게 먹이를 주는 일은 생태적일까?
사투리 쓰는 매미도, 새처럼 우는 매미도 있다고?
매미가 사투리를 쓴다니 너무나 신기한 일이죠.
매미도 종류에 따라 우는 소리가 달라요.
참매미는 "맴맴 매에엠~", 애매미는 "쓰름쓰름~", 참깽깽이매미는 "지이이이이이~"로
같은 매여도 육지에 사는 매미와 섬세 사는 매미소리가 다르다고 해요.
매미소리 연구가인 윤기상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육지와 울릉도에 사는 애매미 소리에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울릉도 애매미 소리가 조금 더 단순하다는데요.
육지에서는 경쟁이 심하니까 짝 찾기에 유리하도록 자기만의 개성적은 소리를 내게 진화했다고 해요.
'더 알아보기'와 '관찰하기'를 제공하여 배경지식도 더욱 탄탄하게 쌓을 수 있어요.
질문을 하는 것은 주체적으고 능동적으로 살아가는 것이죠.
나를 포함해 모두가 살고 있는 세상에서 많은 생명들과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한 '질문으로 시작하는 생태 감수성 수업'의 질문을 통해 이해하는 마음을 배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생태 감수성을 깨울 수 있는 시작은 '질문으로 시작하는 생태 감수성 수업'의 질문이예요.
블랙피쉬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 입니다.
#질문으로시작하는생태감수성수업, #블랙피쉬, #최원형, #환경인문학, #생태감수성, #질문생태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