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억함의 용기 - 나는 수용자 자녀입니다
성민 외 지음 / 비비투(VIVI2) / 2025년 5월
평점 :
나는 수용자의 자녀다워야 한다는 고정관념에 갇혀 있었다. 조용히 숨죽이고, 자신을 들어내서는 안 되며,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고 믿었다. 그래서 숨쉬기조차 버거운 시간을 견뎠고, 그 이후로는 많은 것을 회피하면서 살았다. 수용자의 자녀답게 살아야 한다고 믿었던 나는 결국 이제 와서야 깨달았다. '수용자의 자녀다운 것'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 이토록 깊은 자취:다이애나 글 중 p180
수용자와 그 자녀..
사실 한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다. 주변에 없어서인지도 모르지만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라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러나 글 속 부모들의 죄명(?)을 보니 강력범죄가 아닌 '장발장의 빵'처럼 생계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인 경우도 많다는 것을 알게 됐다. 주변에 참 무관심한 나를 발견하게 되니 미안함과 더불어 생명의 존엄성과 존재의 소중함에 대한 깊은 성찰을 하게 된다.
10명의 청년들의 삶을 모아둔 글이지만, 얼마나 많은 수용자 자녀들이 견뎌내고 버텨내는 삶을 살아가고 있을지 가늠할 수 없음이다.
'세움'이라는 단체가 있음에 감사하며 이런 단체의 존재도 널리 알려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수용자 자녀'라는 말자체가 그들을 얼마나 옭아매고 있을지..
얼마나 많은 눈물과 매일의 힘겨움이 있을지 나는 잘 알지 못하지만 이 책을 통해 주변을 살피고 혹여나 비슷한 상황에 놓인 아이들이 있다면 진정한 어른의 모습으로 다가가줘야겠다 다짐해본다.
그들의 글 속에 담긴 삶에 대한 깊은 통찰은 나의 생각보다 깊고 강한 의지와 열정이 담겨있는 것 같아 나의 삶에 대해서도 돌아보게 되는 시간이었다.
어디에서 어떤 모습으로 있든, 자신의 잘못이 아닌 부모의 잘못으로 연좌제처럼 억눌려 있을 아이들과 청년들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지... 그리고 나는 어떻게 살아가야할지, 나를 만나는 이들에게 어떤 모습이어야할지 많은 생각을 해 본다.
사랑하는 아이야!!
너는 존재만으로도 빛나는 사람이란다!
어깨를 펴고 당당히 너의 길을 가보렴~
때론 세상의 시선이 너의 발걸음을 주저하게 할지 모르나 그 모습이 세상의 전부는 아니란다.
낯선 세상에 혼자인 듯 하지만 너를 위해 기도하고 응원하는 작은 촛불들도 많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주렴...
너의 아픔을 다 헤아릴 수는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의 우산이 되어주고 싶은 어른이 있다는 것이 너의 눈물을 닦고 다시 일어날 수 있는 밑걸음이 될 수 있기를 바래본다~
남들이 세워 놓은 기준에 내 인생을 비교하지 않고 내 인생의 치열함, 책임감을 만들고 쌓아 나갔으면 좋겠다. 내가 어떤 꼬리표를 달고 있든, 남들에게 어떻게 보이든 간에 내가 믿고 나아가는 길을 치열하고 책임감 있게 열심히 사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는 메세지를 꼭 전달하고 싶다. - P54
한 번 나침반이 뒤틀렸다고 해서 인생이 끝난 것이 아니다. 잠시 동안 가야 할 곳을 헤매고 망설이더라도, 가끔은 느리고 게을러도 되지 않겠는가. 엇나가도 되고 나빠 보여도 되고 실수해도 괜찮다. 그것 또한 ‘나‘라고 생각한다. 결국 우리는 우리만의 나침반으로 인생이라는 항해를 할 것이다. - P55
이 책을 읽었다고 해서 수용자의 자녀들을 불쌍하게 여기는 연민의 마음을 가져달라는 것도, 또 안타깝게 봐 달라는 것도 아니다. 그저 나 같은 수용자 자녀도 각기 다른 이유로 일상에서 가면을 쓰면 살아가고 있고, 우리는 모두 친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기 바란다. - P80
고통의 점과 슬픔의 선은 사라지지 않는다. 이는 오늘을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굳은살이 되어 당신을 묵묵히 응원하고 있다. 당신은 좋은 경험으로만 정의될 수 없다. 당신은 모든 경험의 총합이니까. - P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