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코르
유리 지음 / 이야기꽃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어 나가는 내내 가슴이 두근거리고 뭉클한 감정이 밀려오는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내내 심장 박동을 나 스스로 느낄 정도로 떨렸다. 굵은 선의 손끝에서 펼쳐지는 황홀한 이야기가 한 순간도 눈을 뗄 수 없을 정도로 집중하게 만들었다. 중간 중간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문장들까지, 어느 한 페이지도 허투루 볼 수 없을 정도였다.
꼼꼼하게 한 글자 한 글자 곱씹으며 읽고, 다시 그림에 집중해서 읽고, 그리고 마음이 멈추는 페이지를 또 펼쳐 보며, 결국은 책을 덮고도 한동안 책표지를 손으로 쓰다듬으며 그 여운을 오래도록 간직하게 되는 책이었다.
유리 작가의 전작 중 '돼지 이야기'를 본 후 너무나도 충격적이었고, 슬펐고 때로는 고통스럽기도 했다. 우리가 너무나도 아무렇지 않게 모르고 지나치는 것들에 대해, 이렇게까지 직접적으로 이야기한 책이, 그것도 그림책이 있었던가 싶을 정도로 마음 깊은 곳까지 찌른 책이었다.
이 책 또한 또 다른 면으로 마음 깊은 곳까지 깊게, 아주 깊게 찌른 책이다. 그리고 여러 번 책을 본 후 그제야 발견한, 액자 속 두 사람. 혼자 책을 보다, '아!' 하는 탄식을 나도 모르게 입 밖으로 내게 만들었다. 이보다 더 따뜻할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그래서 심장이 더 두근거렸나 보다.

'그리고 시간..., 시간이 필요하다.'
'천천히, 차근차근....
정성을 들인 만큼 소리가 날 것이다.'
'그리고 알맞게.
세게 누른다고 단단하게 붙는 것은 아니다.'
'어디에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중요한 일을 하는 것들이 있다.'
'눈길과 손놀림, 체온과 심장의 박동....
서로의 진동에 익숙해져 가면서 자기만의 소리를 찾아간다.'
'앙코르!'

앙코르! 나에게 보내는 응원과 격려의 함성으로 들린다. 누구에게나 자신에게 있어 '한 번 더!'를 외치고 다시 힘을 내고 싶은, 심장의 박동이 느껴질 일들이 분명 있다. 이제 다시 심장을 뛰게 해도 좋다는, 주저앉아 있는 우리에게 다시 일어나서 두근거릴 수 있는 일을 하라는 신호로 느껴진다.
심장 박동을 느끼며 두근거리고 싶다. 작은 떨림을 기꺼이 기쁘게 받아들이고 싶다. 그럴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다. 이것이 책 한 권의 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도자처럼 생각하기 - 목적 있는 삶을 위한 11가지 기술
제이 셰티 지음, 이지연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의 시대에 가장 필요한 책인 듯싶다. 우리가 제대로 된 삶을 살 수 있으려면 필요한 것이 바로 '수도자처럼'이지 않을까. 그런 수도자와 같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 그래서 그런 단계를 하나하나 스스로의 삶에 적용하다보면, 어느새 나의 삶을 돌아보고, 지금까지와는 다른 삶을 살아봐야겠다는, 시도해봐야 할 것만 같은 생각이 들게 만든다.

요즘 사람들이 다들 과도하게 많은 생각을 하고,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고, 불안을 느끼며 고생하는 것은 원숭이 같은 마음을 그대로 내버려 둔 결과다. 원숭이 같은 마음은 이 생각, 저 생각, 이 문제, 저 문제 계속 옮겨 다니기만 하고 아무것도 해결하지 못한다.(21쪽)

마치 딱 내 얘기를 적어놓은 것 같아 뜨끔했다. 그리고, 지금껏 나는 그런 삶을 살았구나를 작가의 말을 통해 확인했다. 얼마나 부끄럽던지. 너무나 많은 소음 속에 살아왔구나를 생각했다. 그런 주변의 소음을 스스로 차단하지 못한 채 허우적거렸던 나의 삶이 떠올랐다. '의견, 기대, 의무' 속에서 결국 나 자신을 찾지 못했던, 그 수많은 시간을 살아왔던 나를 다독이며, 이제라도 나의 내면을 위해 나 자신을 향할 수 있는 나만의 공간과 시간을 찾아야겠다고 생각했다.
결국은 '나의 내면 들여다보기'가 시작이었다. 호흡을 하고, 명상을 하고, 그 동안 가지고 있던 부정적인 생각, 두려움에서 벗어나 나를 제대로 들여다보고 성장해야하는 거였다. 그리고 나만의 루틴과 나만의 삶의 흐름을 형성하고 그 길 위해서 당당히 자신을 만들어 나가야 했다.
지난 2년 동안 중 한 가지 실천했던 일이 떠올랐다. 새벽 5시면 어김없이 일어나 운동복으로 갈아입고 밖으로 나가 30분을 뛰고 20분을 스트레칭했다. 누가 보든 말든, 어떤 방해 요소가 있더라도 웬만해서는 이 루틴을 어기지 않으려고 했다. 뭔가 그런 시간들이 나 자신만을 위한 시간이 되면서 그 시간이 소중하고 값지다는 생각을 했다. 아마도 새벽의 시간과 달리는 그 공간이 나에게는 '수도자처럼'이였던 것 같다.

좋은 소식은, 마음의 주파수를 맞추는 연습은 하면 할수록 노력이 덜 든다는 것이다. 운동을 규칙적으로 했을 때 근육이 튼튼해지는 것처럼 이 기술도 점점 더 튼튼하고 안정적으로 바뀐다.(290쪽)

예전 드러마에서 이런 대사가 나왔었다. 심장이 단단해졌으면 좋겠다. 단련되어 감정적으로 흔들리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뜻으로 해석했었다. 달리기를 하다 보면 다리에 근육이 생기는 것처럼, 마음에도 그런 단련될 수 있는 연습과 훈련이 필요하다. 이건 정말 맞는 말이다. 자존감으로 단단해진 심장으로 다시금 흔들리지 말아야겠다.

'알아채고, 멈추고, 바꿔라.'
우리가 살아가면서 기억해야 할 핵심 구호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무리 험난하고 어려운 순간들이 와도, 감정이 요동치며 고통스러운 순간들이 와도 우리에게는 알아채고 멈추고 바꿀 수 있는 힘이 있기 때문에, 또 다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차분이 나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그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그에 따라 사랑하고 행동하면서 우리는 차분하게 지금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음의 주문처럼 외면서 우리의 삶 곁에 두어야 할 말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