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렌체의 빛나는 순간 - 르네상스를 만든 상인들
성제환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 장학퀴즈라는 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EBS에서 하고 있던데, 당시에는 MBC에서 차인태님이 진행하셨죠. 지금은 SK그룹이 된 선경그룹이 그 프로그램을 후원했고, 방송 앞뒤로 선경그룹의 공익광고가 나왔던 기억이 납니다. 어디까지나 제 어렴풋한 기억에 의한 거니 잘못된 기억일수도 있지만, 광고 내용 중 메디치가의 은행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었던 것 같습니다. 메디치가문은 르네상스시대 문화예술을 발전에 기여한 바가 많지만, 정작 르네상스시대라 하면 흔히 레오나르도 다 빈치나 미켈란젤로 같은 화가를 먼저 떠올리게 됩니다. 하지만 이 책은 독특(?)하게 르네상스를 상인가문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습니다. '르네상스를 만든 상인들'이라는 부제처럼요. 간단히 요약하자면, 바르디 가문과 같은 토착귀족 세력과 스토로치 가문과 같은 피렌체 출신 상인세력에 대항해 신흥상인 계층인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의 지배권을 확립해 가는 과정에서 미술이나 건축, 거기에 인문학까지 더해지면서 르네상스의 발전이 이루어졌다는 이야기인데요, 르네상스라는 말이 주는 느낌과 달리 그리 아름다운 이야기는 아닙니다. 고리대금업으로 큰 돈을 모은 상인들이 사후세계의 안녕을 기원하고자 성당에 영묘실을 만들게 되고(그 댓가로 성당은 큰 돈을 기부받게 되고), 그 영묘실을 장식하다보니 미술이 발전하게 되고 후에는 자신들의 지배권에 대한 명문을 만들기 위해 그리스로마문화까지 아우르는 인문학의 발전까지 연결되는거죠. 하지만 영원한 건 없는 법. 시민의 지지를 받고 오랜기간 피렌체를 지배해 온 메디치 가문도 결국엔 시민들에 의해 그 영광을 잃게 되고, 일반적으로 우리가 그 이름과 '군주론'이라는 책 제목만으로 알고 있는 마키아벨리가 등장합니다. 학창시절 세계사 시간에 분명 르네상스에 대해 배웠습니다만 남은 건 별로 없습니다. 르네상스에 대한 문제가 나오면 답은 대략 '인본주의'로 결론이 나죠. 왜 인본주의인가? 왜 미술이 발전했나? 왜 그리스로마문화가 재조명되었나? 이런 근본적인 의문을 해결할 충족시킬 시간도 이유도 없었습니다. 그런 의문을 자연스럽게 해결해 주는 게 바로 이 책입니다. 상인의 관점에서 바라보니 많은 부분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이해됩니다. 책 내용도 어렵지 않고 수록된 사진과 도판도 적절히 배치되었습니다. 아는만큼 보인다고 하잖아요. 피렌체를 여행하게 되면 많은 것이 달라보일 것 같습니다. 세계사나 미술에 관심이 많은 분은 특히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고, 아울러 고등학생 분들도 이 책을 읽고 교과서 속에서 주입식으로 접하는 르네상스가 아닌 진정한 르네상스를 만났으면 합니다. 저는 추가로 위에 언급한 '군주론'을 읽어 볼 생각입니다. <피렌체의 빛나는 순간>을 읽으니 군주론을 읽고 싶은 마음이 커지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