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을 지키려는 고양이
나쓰카와 소스케 지음, 이선희 옮김 / arte(아르테) / 201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한동안 손에서 책을 놓고 지냈었다. 손에서 한 번 책이 떨어지니 다시 집어 드는 데 꽤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 내가 책을 다시 집어 들게 된 건 1년 정도 지난 것 같다. 지난 1년 동안 내가 다시 많은 책들을 읽게 될 줄은 몰랐다. 책을 읽다 보니 그동안 내가 놓치고 있던 부분도 많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책으로 하여금 다시 '읽는다'라는 것에 대해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다. 요 몇 달 간 나의 독서량은 급격하게 많아졌고, 이렇게 책을 읽다 보니 이것이 나에게 어떤 의미를 가져다주는지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하던 중 ≪책을 지키려는 고양이≫를 읽게 되었다.
≪책을 지키려는 고양이≫는 '책'에 관한 이야기를 담아낸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린타로는 할아버지의 오래된 서점을 정리하게 된다. 할아버지의 나쓰키 서점은 많은 사람들이 찾지는 않지만 셰익스피어, 헤밍웨이, 니체 등 전 세계의 내로라하는 작가들의 오래된 서적들을 가지고 있던 곳이었다. 어느 날, 책을 정리하고 있던 린타로에게 말하는 고양이 '얼룩'이 찾아온다. 얼룩은 린타로를 '2대'라고 부르며, 자신을 도와 책들을 구해달라는 부탁을 하게 된다. 린타로는 얼룩의 등장에 놀라면서, 그의 부탁을 들어주기로 하며 총 4개의 미궁을 탐험하게 된다. 4개의 미궁을 탐험하면서 린타로는 4가지 방식으로 각각 책을 대하는 자세를 지닌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책을 읽는다고 꼭 기분이 좋아지거나 가슴이 두근거리지는 않아. 때로는 한 줄 한 줄을 음미하면서 똑같은 문장을 몇 번이나 읽거나 머리를 껴안으면서 천천히 나아가기도 하지. 그렇게 힘든 과정을 거치면 어느 순간에 갑자기 시야가 탁 펼쳐지는 거란다. 기나긴 등산길을 다 올라가면 멋진 풍경이 펼쳐지는 것처럼 말이야. (p.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