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장살이의 기술 - 일잘과 일못을 가르는 한 끗 차이
로스 맥커먼 지음, 김현수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휴학을 하기 전, 한 달동안 학점 연계 현장 실습을 이유로 회사에 다닌 적이 있었다. 학점 연계 현장 실습의 가장 큰 장점은 내가 하고 있는 이 전공이 훗날 내가 이 직업을 가지게 된다면 얼마나 부합할지 알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것도 졸업 전에! 아무튼 막연한 기대감을 가지고 첫 출근을 했다. 첫 출근 후 집으로 돌아오는 지하철에서 나는 생각했다. "아무래도 망한 것 같아!" 다음 날부터 나의 하루 목표는 '오늘도 무사히 퇴근하자!'였다.
≪직장살이의 기술≫은 그 누구도 쉽게 말해주지 못했던 직장에 적응할 수 있는 법을 담은 책이다. '어차피 다른 책들과 다를 바 없는 이야기를 하겠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물론 나도 그 중 하나였다.) 그러나 책의 저자 로스 맥커먼은 다른 시선으로 말한다. 그는 안될 건 안되는 것으로 인정하고,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 책은 성공에 관한 책이지만 성공을 바라보는 나의 시선은 중심에서 살짝 비껴 있다. 나는 그 어떤 체계나 철학을 늘어놓을 생각이 없다. 이 책은 자기계발서를 싫어하는 사람들을 위한 자기계발서가 될 것이다. _p.11

로스 맥커먼은 자신이 겪은 이야기를 구체적인 예시로 사용하면서 그동안의 자기계발서와는 다른 주제들을 이야기한다. 재치 있는 그의 시선은 매우 신선하고, 다른 자기계발서보다 더 흥미롭다. 자기계발서하면 흔하게 등장하는 '실패'에 대해 그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나는 사람들이 실패를 논할 때 진짜 실패의 의미를 논하는 건 아닐 거라고 생각한다. 실패는 책이나 기사를 좀 더 흥미롭게 보이도록 만드는 단어일 뿐이다. 진짜 실패는 끔찍하고 값비싸다. 충격 또한 엄청나다. 실패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은 없으며 긍정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 일찍 겪어도, 자주 겪어도 마찬가지다. 가능하다면 겪지 않는 편이 좋다. 정말이다. 사람들이 논하는 것은 사실, '실수'다. _p.75
그럼 자기계발서에서 빠질 수 없는 '시간 관리'는? 많은 자기계발서에서는 시간 관리가 생명이라고 말한다. 구체적인 시간 관리법은 알려주지 않으며, 자신에게 계속해서 채찍질을 하라고만 한다. (내가 자기계발서를 싫어하는 이유 중 하나다.) 그러나 로스 맥커먼은 시원하게 인정한다. 시간은 관리할 수 있는게 아니라고! 그저 지키는 것 뿐이라고!
시간 관리란 것은 절대 시간을 관리하는 일이 아니다. 시간은 변함이 없다. 시간은 작년이나 올해나 똑같다. 따라서 우리는 시간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인정하거나 무시하거나 둘 중 하나를 해야 한다. 우리는 시간 때문에 샤워를 하다가 욕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런다고 해서 달라지지 않는 게 시간이다. _p.177
≪직장살이의 기술≫이 직장이라는 공간적 배경에 갇혀 있는 책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제목에서부터 그렇게 써 있으니까. 그러나 책을 읽다보면 직장이라는 공간이 아니어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꿀팁들이 들어 있다. <PART 2 대화의 기술>이나 <PART 4 생존의 기술>, <PART 5 협업의 기술>에서 등장하는 말하는 법, 자신감을 가지는 법, 상대방을 파악하는 법 등의 팁들은 충분히 일상 생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실천까지는 어려울지도.(자기계발서를 읽고 모든 팁들을 실천했다면 나는 지금쯤 성공을 했거나, 성공을 눈 앞에 두고 있을지도 모른다^_^ 로스 맥커먼은 독자들의 그런 점까지 파악하고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무서운 작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