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학번 영수를 아시나요?
이정서 지음 / 새움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7년에는 유독 1980년대를 그려내는 영화들이 주목 받았다. 1980년 5월의 광주를 담은 <택시운전사>나 1987년의 명동, 서울을 담은 <1987>이 그 이야기다. 많은 사람들이 그 격동적인 시대의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에는 아마 1년 전, 광장을 가득 채웠던 주홍 불빛들의 영향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국민이 뽑은 대통령을 자리에서 내려오도록 만들었던 의미 있는 일.
  1987년, 서울 명동, 종로, 을지로 거리에는 100만명의 시민들이 모였다. 거리 곳곳 최루탄의 연기가 자욱하던 시대에 시민들은 '민주주의'를 울부 짖었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역사에서 이 민주주의의 역사는 빠뜨릴 수 없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는 최루탄 연기 속의 상황에 주목했다. 한치 앞도 볼 수 없었던 최루탄 연기 속에서 끊임없이 외치던 영웅들만을 기억했다. 연기 밖 사람들도 같은 1987년을 버텨왔음에도.

 

 

  ≪85학번 영수를 아시나요?≫는 88서울 올림픽을 기점으로 시간을 계산하는 이상한 1987년대의 상황을 그려내고 있다. 일상화된 최루탄과 깨어진 보도블록의 시대(p.31)에 질려버린 이 윤은 도망치다시피 군입대를 한다. 최전방에서 근무하게 된 이 윤은 임 병장, 하치우라는 인물들을 만나게 된다. 내무반에서 알아주는 배짱을 가진 임 병장과, 정치에 대한 견해를 노출하지 않고 하치우는 군 제대를 하게 된다. 이후 들어온 자신의 후배 85학번 김영수를 만나게 된 이 윤은 운동권에서 활동했던 그가 강제로 군에 징집돼 부대를 왔다 갔다 하는 것을 알게 된다.
  2000년대에 들어서자 이 윤은 혼란스러웠던 그 시절을 정리하고자 한다. 격동의 1987년이 지난 후, 하치우와 김영수의 소식을 듣게 된 이 윤은 씁쓸함을 감추지 못한다. 이데올로기의 끝과 함께 그들의 순수했던 청춘들 역시 1980년대에 갇혀버리게 된다. 우리는 1980년대를 역사의 현장으로만 바라봐야 하는지, 이정서 작가는 ≪85학번 영수를 아시나요?≫를 통해 전하고 있다. 조남주 작가의 <82년생 김지영>의 '김지영'이란 이름이 흔한 여자아이들의 이름이고, 대한민국 여성들을 의미하는 것처럼 '85학번 영수'는 역사적 상황이 아닌 그 시절을 겪어야만 했던 대한민국의 청춘들을 의미한다.

  그 시절 영수라는 이름은 사실 아주 흔한 이름이었다. 내가 아는 이만 해도 몇 명 되었다. 그에 대해 화제를 삼은 적도 있다. 아마 우리 부모님들이 우리를 건강하고 오래 살라는 뜻에서 그런 이름을 지어준 게 아닐가, 하는 것이 중론이었다. 나는 그 시절의 영수가 단지 그곳에서 만났던 그 김영수 하나가 아니었을 거라는 의미로 그렇게 제목을 붙이기도 한 것이지만 그런 얘기까지 하고 싶진 않았던 것이다. _P.177
 

 

 

 

 

 

  ≪85학번 영수를 아시나요?≫는 굉장히 현실적인 소설이었다. 소설의 인물들은 단순히 그 시절을 기록한 책 속의 인물들이 아니었다. 특히 '하치우'라는 인물은 자신의 정치 의식을 드러내지 않은 채 제대를 마치고 이 윤과의 연락이 끊기게 된다. 이후 이 윤이 하치우의 소식을 다시 접했을 때, 그는 정치권에 뛰어 들었고, 이름까지 바꿔 가며 젊은 시절 자신과는 다른 행보를 보인다. 결코 이 인물이 소설 속 인물이라는 사실은 독자들 모두가 깨달을 수 있다. 그 깨달음에서 오는 씁쓸함을 감출 수 없다.

  국민들 사이에 요즘 비판적 지지라는 말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도 정권은 교체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공감대가 서 있다는 것이죠. 국민들이 정말 많이 변한 것 같습니다. 그래도 누가 이 땅의 민주화를 위해 힘써 왔는가를 나름대로 평가하고 제대로 투표를 하지 않을까요? _p.166

  1987년, 민주주의를 애타게 울부짖던 대한민국은 어느덧 30년이란 시간이 흘러 2018년에 도착했다. 30년이 지난 지금, 이 공간은 어떻게 변했는가? 그 사이 국민들은 말도 안되는 정책에 속상하기도 했으며, '개, 돼지'라며 무시당하기도 했다. 또 다시 무력해지는 것 같았지만, 2017년 광장에 모인 주황 불빛들은 다시 이 땅의 주인이 누구인지 당당히 이야기했다. 특히 10대, 20대들의 많은 참여가 인상깊었다.  그럼에도 순수해야 할 청춘들이 또 다시 절망을 감당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걱정이 앞서기도 했다. 더 이상 청춘들이 아파야 하는 시대가 다시 찾아오지 않기를 소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