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하는 여자들 - Dear 당신, 당신의 동료들
4인용 테이블 지음 / 북바이퍼블리 / 2018년 1월
평점 :

"왜 학생회장이나 부학생회장, 과 대표 같이 큰 직책들은 남학생들만 뽑는거예요?"
처음 대학교에 들어가서 학생회장을 투표하면서 나는 선배에게 그런 질문을 했다. 여학우의 비율이 월등하게 높은 유아교육과를 제외하고 학교 내에 있는 대부분 '학생회'들은 모두 남학생이 주요 직책을 맡았다. "여자보단 남자가 더 체력이 좋으니까. 행사를 진행하려면 밤샘하는 경우도 많은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여러모로 더 낫지." 선배는 그렇게 답했다.
"우리 과는 여학생 비율이 많지요. 그렇지만 여학생들이 방송 쪽으로 진학하기엔 좀 힘들겁니다. 여학생들이 하기에 좋은 직업은 라디오 작가, 프로그램 모니터 요원 등이 있습니다. 특히나 라디오 작가는 생방송 2시간만 집중하면 되기 때문에 결혼하고 육아와 병행해도 큰 무리가 없을 겁니다. "
2학년이 되고 처음으로 듣게 된 전공 수업에서 교수님은 이런 말을 하셨다. '여'학생이 가지기엔 좋은 직업. 물론 교수님이 '여자'라는 젠더에 대한 어떤 견해로 말씀하신 것은 아니셨다. 아직은 '남성의 분야'라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방송 분야의 시스템을 염두하셨던 것이다.

2017년 한국 사회를 핫하게 만들었던 키워드는 '페미니스트'였다. (여전히 그 키워드의 영향력은 대단하다.) 그러나 또 하나의 작은 사회라고 불리는 대학교에서도, 다양성을 추구하고 시도하는 방송과 영화,미술,음악 등을 비롯한 예술 산업 분야에서는 아직까지도 '남자들만의 영역'이 존재한다. 여전히 여성들에 대한 유리천장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4인용 테이블의 ≪일하는 여자들≫은 '자신의 영역에서 나름 흔적을 남기며 일해왔고, 지금도 일하고 있는 여자'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친구들과 수다를 떨다 보면 항상 나오는 주제 중 하나인 '멋있는 커리어우먼'은 바로 그녀들을 지칭한다. 4인용 테이블은 총 11명의 여성들은 인터뷰했다. 그리고 저마다 자신의 영역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일하는 여자들≫은 마침표보다는 물음표에 가까운 책이다. 답을 주기보다 질문을 던질 수 있기를 원했고, 그 질문들은 우리 안에도 여전히 남아 있다. 하지만 비슷하고 또 다른 고민을 하며 오늘도 일하고 있는 여성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과 모르는 것, 그 경험을 들어본 삶과 아닌 삶이 다르다는 것만큼은 확신한다. _p.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