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나도 괜찮지 않습니다 - 감정 오작동 사회에서 나를 지키는 실천 인문학
오찬호 지음 / 블랙피쉬 / 2018년 1월
평점 :

사회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산다고 배웠다. 물론 그 때는 그 '다양함'이 어떤 의미인지는 잘 몰랐다. 단순히 이런 저런 사람들이 사는 것이겠거니 막연하게 생각했다. 머리가 점점 커지면서 이제는 어느 정도 그 '다양함'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것 같다. 정말 세상엔 '다양한'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하루가 다르게 그저 '다양하다'는 범주 안에는 넣기 힘든 유형의 사람들이 등장한다.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 전해지는 많은 사람들의 삶들을 보다보면 괜스레 부끄러워진다. 당사자가 느껴야 할 부끄러움임에도 나의 몫이 되는 경우도 있었고, 나 스스로 '아차!'하면서 부끄러워지는 경우도 있었다. 부끄러움을 느끼는 나는 이대로 괜찮은 것일까?

<하나도 괜찮지 않습니다>는 '감정 오작동 사회'라는 키워드로 우리 사회를 보여주고 있다. 부끄러움을 느껴야 할 사람들은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하고, 부끄러워하지 않아야 할 사람들이 부끄러움을 느끼는 현상이 만연한 사회의 모습. 마치 고장난 기계처럼 이상하게 돌아가는 사회 속에서 오찬호 박사는 '나'를 지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해주려 한다.
달라진 사회 '안'에서 행복할 자신의 모습을 그리고 싶었던 이들을 더 이상 실망시킬 수 없었다. 학교 안에 머무르는 연구자가 아니라 현장에서 사람들을 만나는 작가의 입장에서 독자의 갈증을 마냥 내버려 두는 건 직무유기다.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매뉴얼을 만들기로 했다. "이러다가 다 망한다!" 는 쓴소리가 아닌 "우리가 행복하기 위해 '나'부터 변하자!"는 일종의 사회학적 자기계발이랄까. _p.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