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이 되었어도 너는 내 딸이니까 - 미노스의 가족동화
미노스 지음 / 새움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 잠들기 전 엄마가 읽어주던 동화 이야기들이 너무 좋았다. 매일 매일 새로운 이야기들이 눈 앞에 펼쳐졌고, 나는 그 이야기에서 쉽게 눈을 뗄 수가 없었다. 글을 읽을 수 있게 되면서 전 세계의 동화를 다룬 전집을 선물받게 되었다. 5번 넘게 읽을 정도로 내게는 너무 매력적인 이야기들이었다. 조금 더 자라게 되자 나는 자연스럽게 소설책을 집어 들었다.
  마법을 쓰고 사자가 말을 하는 등 동화의 판타지적 요소를 똑같이 담고 있는 소설들도 많았지만 불륜, 복수, 살인 등 자극적인 소재들로 이루어진 소설들도 많아지기 시작했다. 교훈을 주고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도록 해 준 동화들은 서서히 내게서 잊혀져 갔다. 동화가 아니어도 세상엔 읽을 거리가 풍부했기 때문이었다.

  아이들이 들어서, 아이들에게 들려주어서 좋을 것 같지 않은 이야기가 세상에 넘쳐납니다. 불화와 적개심과 증오로 가득 찬 이야기들… 이런 세상에서 우리 아이들은 어떤 세상, 어떤 사람을 꿈꾸고 있을까? 식탁에서 젊은 부모와 자녀 간에는 무슨 이야기를 하면서 지내고 있을까? 대화라는 것이 있기는 있는 것일까?
  공부 이야기, 돈 버는 이야기, 세상 못된 이야기 말고…….(<어른이 되었어도 너는 내 딸이니까> 작가의 말 中)

 

 

  <어른이 되었어도 너는 내 딸이니까> 라는 책이 세상에 나온 이유는 그 어떤 책보다 멋있었다. 딸의 부탁으로 미노스 작가가 손녀를 위해 직접 만든 동화를 엮어 만든 책이었기 때문이었다. 

  할아버지가 손주들에게 만들어 들려주는 동화. 아빠 엄마가 아이들에게 직접 들려주는 이야기. 아빠가 읽고, 엄마가 들려주고, 아이가 같이 웃을 수 있는 행복하고 따뜻한 이야기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어른 이야기와 아이 이야기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같이 행복할 수 있는 동화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어른이 되었어도 너는 내 딸이니까> 작가의 말 中)

  손녀를 위한 동화를 만들어 달라는 딸의 부탁으로 시작하였지만, 미노스 작가는 어렸을 적 자신의 동화를 무척이나 좋아했던 딸을 우선으로 생각했다. 그래서 <어른이 되었어도 너는 내 딸이니까>를  읽으면서 할아버지의 따뜻한 마음은 물론, 아버지의 사랑을 느낄 수 있었다. 이제는 자라 엄마가 된 딸을 위해, 그리고 언젠가 자라 엄마가 될 손녀를 위한 미노스 작가의 따뜻한 마음이 느껴지는 19편의 동화들을 다 읽고 나니 왠지 추운 겨울이 조금은 따뜻하게 느껴졌다.

 

 

 

 

  저는 무엇보다 가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사람의 첫 삶이 가족에서 시작되고, 가족의 품에서 생의 마지막을 마칠 수 있을 때, 비로소 진정한 행복이 완성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가족동화'라 해보았습니다.
(<어른이 되었어도 너는 내 딸이니까> 작가의 말 中)

  미노스 작가는 <어른이 되었어도 너는 내 딸이니까>를 '가족동화'로 이야기했지만, 19편의 동화를 읽으면서 '어른 동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의 순수한 시선, 동심을 위해 쓰였지만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교훈을 담고 있는 이야기들이 많았기 때문이었다. 사랑, 마음 가짐 등 어른들도 한 번쯤은 되돌아보아야 할 것들에 대해 미노스 작가는 아이들의 시선을 통해 어른들에게 전하고 있었다.

  하지만 미래를 보는 안경은 누구든지 갖고 있단다. 오늘 일어나는 일을 자세히 알고 있다면 내일 일어날 일은 누구든 당연히 알 수 있는 거란다. 그런데 사람들이 오늘 일은 안경으로 자세히 보지 않으면서 내일 일을 볼 수 있는 안경만을 찾는구나. 오늘 없는 내일이 없듯이, 내일은 곧 오늘이 만들어낸 결과일 뿐이란다. (<어른이 되었어도 너는 내 딸이니까> 미래를 보는 안경 中)

  불행한 생활이 시계를 빨리 가게 하고, 행복한 생활이 시계를 늦게 가게 했던 것은 아닙니다. 불행도 행복도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다 흔들리는 당신 마음일 뿐이었지요. 우리 시계마을은 당신에게 시계를 채워주며 마음을 바로잡도록 했던 것 뿐입니다. 우리 시계마을에서 행복했나요? 그렇게 마음을 행복하게 가지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어디가서든 시계는 천천히 가는 법이고 젋어지는 법입니다. (<어른이 되었어도 너는 내 딸이니까> 랄랄라 시계마을 中) 

  사실 <어른이 되었어도 너는 내 딸이니까>를 처음 집어 들었을 때, 가족'동화'라는 말때문에 유치하고 뻔한 책일 것이라는 편견을 가졌었다. 어렸을 적 우리에게 무조건적인 교훈만을 주려고 했던 수많은 동화들처럼. 그러나 책장을 넘길수록 그 편견은 깨져버렸다. '동심'을 잃어버린 어른들에게 순수함만을 강조하는 교훈들이 아닌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교훈들을 해주고 있는 미노스 작가만의 매력때문이었다. 그리고 어느새 잃어버렸던 '동심'의 일부를 찾는 느낌이 들기도 했다. 

 

 

 

 

 

   연말이 다가오고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크리스마스를 맞아 어릴 적 부모님과 함께 갔던 경양식 집을 다시 찾았고, 함께 밥을 먹으며 추억들을 떠올렸다.  <어른이 되었어도 너는 내 딸이니까>를 읽는 동안 그 때, 부모님과 추억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었을 때, 내가 동화라는 이야기에 빠져있을 때로 돌아갔다. 그리고 그 시절의 따뜻함을 간직한 채 2017년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가족의 사랑 속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