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라색 히비스커스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지음, 황가한 옮김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지금 내게 오빠의 반항은
이페오마 고모의 실험적인 보라색 히비스커스처럼 느껴졌다.
희귀하고 향기로우며 자유라는 함의를 품은.
쿠데타 이후에 정부 광장에서 녹색 잎을 흔들던 군중이 외친 것과는
다른 종류의 자유.
원하는 것이 될, 원하는 것을 할 자유.

여느 소설이든 카타르시스를 느끼길 마련이다. 어떤 비극적 사건으로 인해 감정이 동요되는 그 순간, 혹은 비극적인 순간이 아니더라도 내가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그런 흐름을 보이는 순간들이. 개인적으로 나는 주인공이 잘못된 사실을 깨닫고 서서히 깨어나는 그 과정을 좋아한다. 움츠리고 있던 날개를 서서히 펼쳐 하늘을 나는 듯한 그런 성장을 보는 것이 즐겁다. 소설 속 인물들에게 마음을 주며 책을 읽다 보니 그들이 더 넓은 세상을 받아들이는 모습이 너무도 대견스럽다. 그리고 어쩌면 또 다른 세상을 받아들이기엔 여전히 무섭고 두려워 웅크리고 있는 내가 동경하는 모습일지도.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처음 알게 된 작가였다. 이름만으로는 작가가 어느 나라 사람이고 어떤 문화를 작품 속에 녹여낼지, 그 어떤 것도 감이 오지 않았다. 그렇게 그녀의 첫 장편 소설 《보라색 히비스커스》를 펼쳤다. 그동안 영미 문학이나 일본문학을 자주 읽었던 나로서는 낯선 문화였다. 나이지리아. 낯선 작가는 낯선 문화를 보여주기 시작했다. 공용어로 영어를, 그리고 500여가지의 토착어를 사용하는 나라.
아버지는 평소에 이보어를 거의 쓰지 않았고 오빠랑 내가 집에서 어머니와 얘기할 때 이보어를 쓰긴 했지만 아버지는 우리가 남들 앞에서 이보어로 말하는 것을 싫어했다. 우리는 남들한테 교양인으로 보여야 해, 아버지가 우리에게 말하곤 했다. 영어로 말해야 한다는 뜻이었다. 예전에 아버지의 동생인 이페오마 고모가 너희 아버지야말로 식민지 시대의 산물이라고 말한 적이 있었다. / p. 24

나는 내 손을, 어렸을 때 아버지가 바짝 깎아 주던 짧은 손톱을 쳐다봤다. 아버지는 나를 다리 사이에 앉혀 놓고 뺨을 내 뺨에 비비면서, 내가 스스로 할 수 있는 나이가 될 때까지 손톱을 깎아 줬었다. 그래서 나는 지금도 손톱을 바짝 깎았다. / p. 193
집 앞에 도착해 차에서 내리는 나의 머릿속에서 그날 오후가 다시 재생되었다. 나는 미소 짓고, 달리고, 웃었다. 가슴 속이 비누 거품 같은 것으로 가득 찼다. 가벼웠다. 그 가벼움의 달콤함이 혀끝에서 느껴졌다. 샛노랗게 농익은 캐슈 열매의 단맛이었다. / p. 223
캄빌리는 원하는 것이 될, 원하는 것을 할 자유를 서서히 만끽한다. 샛노랗게 농익은 캐슈 열매의 단맛처럼 그 달콤한 자유를 느낀 그녀는 서서히 움츠렸던 날개를 펴기 시작한다.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는 그 절정의 순간을 독자들이 함께 만끽할 수 있도록 만든다. 중간중간 낯선 단어들이 등장하고 짐작조차 할 수 없는 음식 이름들이 등장하지만 그 모든 것이 익숙하지 않다는 사실을 잊어버리도록 만든다. 당신이 온 마음을 다해 캄빌리의 이야기를 사랑하게 된다면, 당신의 《보라색 히비스커스》도 서서히 피어나기 시작할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