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게, 메뚜기, 불가사리가 그렇게 생긴 이유 - 생김새의 생물학
모토카와 다쓰오 지음, 장경환 옮김 / 김영사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각기 다른 모습으로 살아간다. 신체구조의 일부분이 유독 발달하여 도드라져 보이기도 하고, 전체적으로 독특한 모양에 살아있는지 궁금하게 만드는 생물도 있다. 같은 지구에서 살고 있지만, 왜 저마다 모습이 다를 수밖에 없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모토카와 다쓰오는 성게, 메뚜기, 불가사리가 그렇게 생긴 이유에서 밝혀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90만 부 베스트셀러인 코끼리의 시간, 쥐의 시간에서 잠깐 소개되었던 행동권의 내용을 심화시킨다. 생물마다 특화된 형태를 가진 이유는 그것이 자신이 살아가는 행동권에 맞는 디자인이기 때문이라는 전제로 시작된다. 모토카와 다쓰오는 바다부터 시작하여 육지까지 올라오면서 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이 그렇게 생긴 이유를 독자들에게 전한다.

책을 펼치는 순간, 독자들은 낯선 용어들에 당황한다. 자포동물문, 절지동물문, 연체동물문, 극피동물문 등 생물을 분류한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은 괜히 어려울 것 같은 기분을 자아내지만, 책장을 넘길수록 그동안 알지 못했던 신기한 내용들이 가득하다.

 

이것은 성장의 문제와 관계가 있다. 소라의 몸은 바깥이 외골격 껍데기로 푹 덮여 있는데 이 점은 곤충과 같다. 2장에서 언급했지만, 외골격 안의 본체가 크려고 해도 외부에서 단단한 껍데기로 꼼짝 못하게 누르고 있기 때문에 성장할 수 없다. 그래서 곤충의 경우에는 껍데기를 일단 벗어버리고 한층 큰 껍데기를 새로 만들어 탈피를 반복하면서 성장해간다. 곤충은 이런 번거로운 일을 하고 있다. (p. 119)

 

모토카와 다쓰오는 크고 빠르고 강하다고 해서 언제나 생존에서 유리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밝혀낸다. 성게가 동그랗게 가시를 세운 형태를 띄게 된 이유, 불가사리가 별모양을 하고 있는 이유, 오징어가 몸을 감싸는 껍데기가 없는 이유, 잠자리가 새와는 달리 얇은 날개를 가진 이유들은 모두 그들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각자의 생존 방식이라는 것이 성게, 메뚜기, 불가사리가 그렇게 생긴 이유의 큰 핵심이다.

코끼리의 시간, 쥐의 시간에서 모토카와 다쓰오는 인간의 물리적인 시간이 하나의 잣대로 지구 생물들을 판단하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성게, 메뚜기, 불가사리가 그렇게 생긴 이유에서도 우리와 닮은 척추동물까지의 영역으로 지구의 모든 생물들을 바라보고 있다고 지적한다. 인간보다 오랜 시간동안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하고, 생존하기 위해 오랫동안 적용된 자연의 법칙을 생각하지 않은 채로. 그래서 이렇게 다른 생김새에 우리는 낯설어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도록 만든다.

 

극피동물에는 뇌가 없다. 그래서 뇌사도 없다. 심장이나 혈관도 없으며 폐도 없고 눈도 없다. 인간의 생사를 판정할 때는 심장의 움직임, 폐의 움직임, 광반사 세 가지의 유무를 확인하는데, 이것을 극피동물에 적용하면 아무것도 없다. 극피동물은 애초에 살아 있지 않은 것이다. (p. 245)

 

바다를 거쳐 육지로 올라오게 된 진화 과정 속에서 의 구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은 굉장히 흥미로웠다. 지구에 수많은 생물이 살고 있었지만, 그 중에서 혀를 가진 생물은 사지동물뿐이라는 사실을. 혀는 사지동물에서 발달했으며 우리들은 이것을 사용하여 사랑을 이야기한다. 육지동물이기 때문에 혀를 잘 구사할 수 있었다. (p. 336)” 모두 생존전략을 위한 디자인이었음을 알게 되고 나면, 모든 생물이 생존을 위해 그간 한 노력도 눈에 보이기 시작한다. ‘대단해!’라고 예찬하는 저자의 태도에 수긍이 가기도 한다. “네가 그렇게 생길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구나! 대단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