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 빈 마흔 고독한 아빠
이시다 이라 지음, 이은정 옮김 / 살림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자는 다들 약하다고 생각해. 자신이 진짜 곤란에 처해있거나 고민이 있으면 아무한테도 말 안 하는 사람이 대부분이거든. 그러니까 아슬아슬할 때까지 참다가 어느 날 갑자기 툭하고 부러져버려. 40~50대 남성의 자살 원인은 경제적인 것만이 아니라 외톨이에다가 마음을 보이지 않아서 그런 것도 있다고 생각해. 가족도 친구도 동료도 가까이 있는데 말이야. (p. 341)

중년 가장의 삶은 어떨까. 가장 가까이에 있는 아빠의 삶을 옆에서 보곤 하지만 전혀 내색하시지 않으니 그 속을 쉽게 알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오죽하면 뉴스 기사 제목에서도 '회사에서도, 집에서도 외로운 중년 가장들'이라는 타이틀이 너무도 당연시하게 나타날까. 가족을 부양하겠다는 가장들의 부담은 그들을 집이 아닌 일터에 머물도록 만들었고, 그들의 자녀들은 어느새 자라버리게 된다. 어린 시절 아버지의 부재는 한숨을 쉬며 집으로 돌아온 가장들에게 외로움이라는 부담을 또 지어주곤 한다.

《텅 빈 마흔 고독한 아빠》는 '가장'이라는 이름이 주는 무게를 주인공 고헤이를 통해서 그려낸다. 10년째 차세대 소설가라는 주목을 받아온 고헤이는 4년 전 아내를 잃고 아들 가케루와 단둘이 살아가는 싱글대디이다. 곧 마흔을 앞둔 그는 가케루가 엄마의 빈자리를 느끼지 않도록 성심성의껏 그를 돌본다. 아들에게 더 좋은 것을 해주기 위해 성공을 꿈꾸지만, 그의 성공은 쉽사리 손에 잡히지 않는다.

그런 넓고도 좁은 출판계의 한 귀퉁이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소설만 쓰며 생활할 수 있다. 크게 성공할 일은 없겠지만 그런대로 행복한 인생이라고, 고헤이는 자신의 작가 생활을 그렇게 정의했다. (p. 12)

사회의 일면을 묘사하기로 유명한 이시다 이라는 주인공 고헤이를 통해서 많은 것들을 표현하고자 한다. 고헤이의 직업적인 면을 따라가다 보면, 점차 줄어드는 출판계 시장에서 소설가가 성공하기까지의 과정이 얼마나 인고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지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수상 하나에 자신의 작품쇄량이 결정된다는 사실은 회사원, 공무원과 같은 안정적인 직업을 가진 다른 사람들에 비해 불안정한 수입을 야기하며, 가장인 고헤이를 볼품없고 작은 사람으로 만들어 버린다.

그래. 칫치가 질투하고 말았어. 이 책은 나도 쓸 수 있었어. 하지만 분명 나라면 이 정도로 좋은 책은 완성하지 못했을 거야. 벌써 10년이나 작가 일을 하고 있고 다음 책은 열다섯 권째가 돼. 그런 지금에 와서 재능이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돼서 정말 괴로워. 친구를 질투하고 있는 자신이 너무 한심하고 증오스러웠어. 그러면서 점점 일을 할 수 없게 되었고. (p. 75)

그러나 그의 곁에는 항상 아들 가케루가 있었다. 싱글대디의 삶을 그린 이치카와 다쿠지의 <지금 만나러 갑니다> 속 노란 우비의 유지를 연상케한다. 물론 나이는 가케루가 더 많은 것으로 나오지만. '아빠'가 처음인 그들에게 두 아들들은 언제나 그들이 힘을 낼 수 있도록 말을 건넨다. 아빠라는 무거운 무게를 홀로 감당하지 않아도 된다며, 늘 그들의 어깨를 토닥여준다. 무심한 듯 던지는 이 말 한마디들은, 아들을 키우는 두 싱글대디들에게 내일이 와도 무너지지 않는겠다고 다짐하도록 한다.

위대한 소설을 낳는 위대한 시대는 동시에 고난의 시대다. 위대하지 않아도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을 쓸 수 있는 평범한 시대를 사는 편이 훨씬 좋다. 고헤이는 가케루의 아버지로 매년 계속되고 있는 디스플레이션 속에서 출판계에 데뷔했다. 작가로서의 욕심은 거의 없다. (p. 147)

그럼에도 누군가 말했다. 이 세상의 모든 부모는 강하다. 4년이 지나 아내의 죽음을 이해하고, 그녀의 빈자리를 채워가며 아들 가케루에게 해줄 것이 많은 고헤이는 아들을 위한 소설을 쓰고자 한다. 그 누구보다 사랑하는 마음을 담은 고헤이의 소설은 사람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질까. 잔잔한 듯하면서도 따뜻한 《텅 빈 마흔 고독한 아빠》의 마지막 장을 덮으며 퇴근하시고 오는 아빠에게 건넬 한마디가 떠올랐다. "오늘도 고생하셨고, 사랑해요."

하지만 마맛치가 죽고 나서 칫치는 혼자서 집안일도 하고 저를 돌보고 일도하고 있어요. 칫치가 많이 힘들 거예요. 칫치는 제게는 최고로 좋은 아빠예요. (p. 4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