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좋은 날
모리시타 노리코 지음, 이유라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차를 배우기 시작했을 때는 아무리 노력해도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뭐 하나 짚이는 것이 없었다. 하지만 지난 25년간 그것이 단계적으로 보이기 시작했고, 지금은 왜 그렇게 하는지 어렴풋이 알게 되었다.

삶이 버겁고 힘들 때, 캄캄한 어둠 속에서 나를 잃었을 때, 차는 가르쳐 준다.

긴 안목을 가지고 현재를 살아라.” (p. 11)

오랜 전통들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많은 선조들이 그 속에 얼마나 많은 삶의 지혜들을 소중히 담았는지 깨닫게 된다. 하나씩 탐미하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게 되면 우리는 그동안 이 바쁜 삶 속에서 소중한 것들이 얼마나 많이 손가락 사이로 새어나가고 있었는지 깨닫게 된다. <일일시호일>이라는 이름으로 개봉한 영화의 원작 《매일 매일 좋은 날》은 저자 모리시타 노리코가 25년간 경험해 온 다도를 소재로 한 장편 에세이다. 노리코는 자신의 이웃이었던 다케다 아주머니에게 다도를 배우게 된 이야기부터 시작하여 다도를 통해서 어떤 것들을 배우게 되었고, 힘든 순간이 찾아와도 다도를 손에서 놓지 못하게 된 이야기들을 적어 내려간다. 짧은 호흡으로 이루어진 문장들 속에서도 은은하게 퍼져 나오는 찻내음이 고스란히 느껴져 책을 내려놓기 아쉬워진다.

차라는 건 말이지, ‘형태가 그 첫걸음이란다. 먼저 형태를 만들어 두고 그 안에 마음을 담는 거야.” (p. 49)

현대인들에게 는 어떤 의미로 다가올까. 사실 길을 걷다 보면, 짙은 녹색의 차를 마시고 있는 사람들보다 까만 커피 한 잔을 마시는 사람들을 더욱 자주 보는 게 요즘 생활 모습이다. 커피 한 잔이 풍기는 이미지는 전통 차 문화를 조금씩 밀어내게 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다도원이나 박물관에 가지 않는 이상 전통 차를 접하기란 어려운 것이 현실이 되어 버렸다. 일상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차의 형태도 우리나라 전통 차의 형태보다는 티백에 담겨 간단히 먹을 수 있는 영국의 홍차수준이니 말이다.

《매일 매일 좋은 날》은 우리나라와는 비슷하지만 사뭇 다른 일본의 전통 차 문화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대입에 실패하고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찾지 못하는 노리코에게 그녀의 어머니는 이웃인 다케다 아주머니께 다도를 배우는 것을 권유한다. 고리타분하고 지루한 것일지도 모른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었고, 생각보다 규칙적이지 않는 학습 방법에 노리코는 다도에 대해 쉽게 흥미를 가지지 못한다. 머리가 기억하지 못해도 손이 기억하면 된다는 다케다 선생의 말을 따라 그저 매주 토요일 다도를 하기 위해 그녀의 집에 방문할 뿐이었다.

예전의 나에게 계절이란 더운 계절과 추운 계절, 두 가지밖에 없었다. 그랬던 것이 점점 세세해졌다. 봄에는 가장 먼저 산당화가 피어나고 매화, 복숭아꽃, 그다음 벚꽃이 핀다. 벚꽃이 지고 새잎이 돋아날 때면 동나무 꽃송이가 향기를 발하고, 활짝 피었던 철쭉이 지면 공기가 후텁지근해지면서 장마를 알리는 비가 내린다. 매실이 열매를 맺고 물가에서 창포가 피어나고 수국이 피고 치자나무가 달큼한 냄새를 풍긴다. 수국이 지고 나면 장마도 걷히고 버찌와 복숭아가 열리기 시작한다. 계절은 차례차례 포개어지듯 다가와서 공백이라는 것이 없다. (p. 8)

노리코는 25년간 다도를 배우면서 느꼈던 계절 본연의 느낌들을 아주 자세하고 세밀하게 묘사한다. 우리가 무심코 지나쳤던 계절들은 사실 조용히 자신의 자리들을 지키고 있었음을. 삭삭삭- 따뜻한 한 잔의 차를 통해서 우리는 비로소 계절들이 주는 소란스러우면서 평화로운 보통 날들을 깨닫게 된다. 원제인 일일시호일의 뜻은 비로소 그녀가 다도를 통해서 깨닫게 된 것들을 완벽히 나타낸다.

우리는 비가 내리면 오늘은 날씨가 안 좋네.”라고 말한다. 하지만 사실 안 좋은 날씨 같은 건 존재하지 않는다. 비 오는 날을 이런 식으로 맛볼 수 있다면 어떤 날도 좋은 날이 되는 것이다. 날마다 좋은 날이.

(p. 256)

사실 모든 것은 우리의 마음에 달려있다. 삭삭삭- 오늘도 따뜻한 차 한 잔에 담긴 마음은 나를 위안하고 위로해준다. 그 따뜻한 울림에, 그저 지나가는 계절을 감상하고 또 감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