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룻밤에 읽는 근현대 세계사 - 18세기 산업혁명에서 20세기 민족분쟁까지 하룻밤에 읽는 세계사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오근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두 번째로 읽는 세계사 책은 《하룻밤에 읽는 근현대 세계사》였다. 그래도 역사를 좋아한다고 생각했지만, 이렇게 역사 책을 마주할 때마다 드는 두려움을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나열과 그 흐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안 된다는 두려움 때문에 쉽사리 역사적 사실과 관련된 책을 집어 들지 못하는 것 같다. 그러나 《하룻밤에 읽는 근현대 세계사》는 역사적 사실을 단순하게 나열하는 기존의 역사 책과는 다르게 어떤 주제를 관통하여 하나의 흐름으로 전개하여 조금은 이해하기 쉬웠다.

  요리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는 것처럼 현대사를 이해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이고 재료가 되는 '사건'의 연결 방식, 이미지 방식도 다양할 것이다. 역사에는 '이렇게 공부해야 한다'라는 규칙은 없다. 나이나 인생 경험에 따라 취향이나 문제의식도 달라지기 때문에 자신의 체험을 살려 역사를 바라보면 된다. 무엇보다도 현대사를 편안하게 대했으면 한다. (p. 6)

  독자들이 편안하게 역사를 대하길 바랐던 저자 미야자키 마사카츠는 역사의 밑바닥을 흐르는 몇 가지 동기들을 제시한다.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 국민국가 시스템, 도시의 팽창, 철도 등의 다양한 인공적 네트워크의 성장, 기술혁신에 의한 기술 체계의 변화, 그것과 상호 관계에 있는 사회 시스템의 변모라는 6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현대사를 풀어나가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19,20세기의 역사는 이러한 요인들이 서로 뒤엉켜 여러 가지 마찰을 일으켰기에 이 6가지 키워드는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하룻밤에 읽는 근현대 세계사》는 1부는 18, 19세기 세계의 변화, 그리고 2부는 주로 20세기 세계의 변화를 다룬다. 18세기 영국 산업혁명이 어떻게 새로운 사회 시스템을 만들어내고, 도시의 팽창을 통해 어떻게 근대적 사회로 변모하게 되었는지를 시작으로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유럽 전역에 퍼진 국민국가 시스템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유럽에서 시작된 식민지 경쟁이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이후 20세기 세계를 장악했던 제국주의가 불러온 결과들을 차례로 독자들에게 전달한다. 
   《하룻밤에 읽는 근현대 세계사》을 읽으면서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은 신문, 라디오 및 미디어 네트워크의 형성 과정을 언급하였다는 사실이다. 신문 방송학을 전공하는 나로서는 이 부분을 좀 더 자세하게 알 수 있어서 흥미로웠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역사 책에서는 다루지 못한 이야기이기에  《하룻밤에 읽는 근현대 세계사》만의 차별성을 느낄 수 있었던 부분이었다. 미디어가 발전하면서 새로운 사회 문화 시스템이 마련되었기에 그 점을 잘 짚어냈다고 생각되는 부분이었다.
  그 외에도 모든 장이 끝나는 부분에 칼럼을 통해서 당시의 역사적 사실이 현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언급하기도 하는데, 과거와 현재가 모두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됨과 동시에 역사적 사실에 대해 조금 더 생각할 수 있도록 만든다. 인구 폭발의 세기인 20세기를 끝으로  《하룻밤에 읽는 근현대 세계사》는 이야기를 마무리한다. 이 마무리가 조금은 아쉽게 느껴졌는데 20세기에 가장 대두되었던 환경 문제를 끝으로 갑작스럽게 끝나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인류사회의 장래는 인생과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 예측은 할 수 있지만 새로운 조건이 더해지거나 여러 요인들이 미묘하게 얽혀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나기도 하면서 예측하던 것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반대로 그것이 우리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 우리가 새로운 조건을 부여하거나 적극적으로 구조적인 변화를 이용하는 입장에 선다면 적게나마 역사의 방향을 바꿔 나가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p. 11)

  역사적 사실을 통해 우리는 현재를 구축하고 미래를 꿈꿀 수 있다. 이 사실을 자각하고 사회 시스템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을 일으키게 된다면, 역사의 방향을 서서히 바꿔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역사 책을 읽는 이유는, 아마 그것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