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날 봄
오미경 지음 / 하움출판사 / 2018년 7월
평점 :

'봄'이라는 계절은 따뜻한 기운을 가지고 차디찬 겨울이 지난 후에 찾아온다. 봄이 가진 기운으로 땅속에 웅크리고 있던 생명들이 하나둘씩 움트기 시작한다. 거리 곳곳을 가득 채운 꽃내음을 맡으며 봄을 만끽하다 보면 '이래서 봄이 좋아'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그냥 무작정 걸어도, 기분 좋은 곳으로만 향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봄. 그래서 사람들은 봄의 계절적 특성을 연결 지어 인생의 가장 절정인 시기를 '봄'이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봄이 오기 전까지의 겨울이 너무 춥게 느껴지듯이 우리 인생에도 그러한 부분들이 존재한다. 단편적일 수도 있고, 장편적일 수도 있지만 누구나 살면서 한 번쯤음 인생의 겨울을 맞이하기도 한다. 시간이 지나면 모든 것이 해결해 줄 것 같지만, 봄이 오는 과정은 생각보다 더디고 느리게 진행된다. 그래서 봄을 즐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때로는 겨울을 잘 보내고 다가오는 봄을 기다리는 자세도 필요하다.
지금 삶이 어떤 세상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세상은 나를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것
그러니 힘든 것도, 즐거운 것도, 슬픔도, 행복도
내가 세상에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해 주는 것이라는 것.
(p. 33 '내가 존재해야 세상도 존재한다' 중에서)
《어느날, 봄》은 저자 오미경이 자신의 힘들었던 시기를 솔직하고 담백하게 풀어낸 에세이다. 힘들었던 시기를 극복해낸 그녀는 《어느날, 봄》을 통해 용기 내어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가감 없이 보여주고자 결심하고 작가라는 봄을 맞이한다. 그녀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해 때로는 진지하게, 때로는 유쾌하게 풀어내어 책을 읽는 독자들도 언젠가 다가올 봄을 함께 맞이하고자 하는 소망을 드러낸다. 그래서 그런지 봄처럼 따뜻한 기운이 책을 읽는 내내 고스란히 느껴진다.
사실 에세이는 독자들이 어떤 때에 읽느냐에 따라 감흥이 달라지는 분야다. 만약 내가 갓 이별을 한 상태라면 당연히 사랑과 이별, 극복에 관한 글에 자연스레 눈길이 갈 것이고 또는 외로움에 허덕여 미쳐가고 있다면 "밥은 잘 먹고 다녀?"라는 짧은 문장만으로도 따뜻한 위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제는 부정하려야 할 수 없는 취준생이 되어버린 나는 자연스럽게 '취업난'에 눈길이 갈 수밖에 없었다.
그래, 나 취준생인데, 놀고먹는 사람은 아니야
나도 일하고 싶고, 내 힘으로 살고 싶어
그게 그리 큰 욕심인가? 그게 눈이 높은 걸까?
그러니까 그런 되도 않는 말로 상처주지 말자
'안'하는 게 아니라 '못'하는 거야.
(p. 215 '그래요, 나 취준생이에요' 중에서)
《어느날, 봄》을 읽다 보면 자연스레 '내게도 언젠가 봄이 올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 봄이 어떤 형태로, 어떤 시기에 찾아올지는 아무도 알지 못하지만 저자가 들려준 이야기대로라면 충분히 내게도 봄이 올 것이라고 믿는다. 언젠가 찾아올 나의 봄날을 위해, 조금 더 참고 견뎌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