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 늙은 여자 - 알래스카 원주민이 들려주는 생존에 대한 이야기
벨마 월리스 지음, 짐 그랜트 그림, 김남주 옮김 / 이봄 / 2018년 4월
평점 :

어린 시절의 나의 기억 속에 외할머니께서는 생활 속 지혜가 많으신 분이었다. 지금은 궁금한 것이 있다면, 인터넷 검색창에 먼저 쳐보는 것이 일상이 되었지만 그 당시에는 나는 할머니께 가장 먼저 여쭈었다. 할머니는 깨끗하게 청소하는 법이나 작은 텃밭을 잘 가꾸는 등의 작다고 하면 작을 수 있지만 알찬 지혜들을 보여주셨다. 지금으로 이야기하자면, 생활의 꿀팁 정도? 할머니의 하루하루가 쌓여 만든 그 지혜들을 미처 다 배우지 못한 것이 아쉬울 뿐이다.
≪두 늙은 여자≫는 알래스카 인디언들이 들려주는 생존에 대한 이야기이다. 제목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소설의 주인공들은 두 늙은 여자다. 부족에서 젊은이들의 보살핌을 받던 그들은 어느 날, 부족장의 결정에 의해 버려지게 된다. 모든 것을 잃고 허망하게 앉아 있던 그들에게 남은 것은 늙은 육신뿐이다. 그러나 그들은 죽음만을 기다리지 않는다. 그들에게는 수많은 세월이 축적해 준 '지혜'가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그렇게 '늙음의 미학'에 대해 그려낸다.
알래스카 극지방 유목민들은 언제나 먹을 것을 찾아 여기저기를 떠돌아다녔다. 그러나 그 해의 추위는 모든 동물들이 자취를 감추도록 만들었고, 먹을 것을 찾지 못한 알래스카 극지방 유목민들은 생존하기 위한 결심을 한다. 부족의 가장 늙은 연장자 두 여인을 버리기로 한 것. 가장 나이가 많은 칙디야크와 두 번째로 나이가 많은 사는 그렇게 설원 한가운데에 버려진다. 칙디야크는 자신을 버리기로 한 부족원들에 대해 어떤 의견을 펼치지도 않는 딸과 손주에게 실망한 채 망연자실한다. 그러나 다행이었던 것은 칙디야크 혼자 버려졌다는 사실이 아니었다. 그녀의 곁에는 사가 함께 있었으니.
두 여인은 추위의 고통 속에서 가만히 앉아 죽음을 기다리느니, 그 고통과 맞서 싸우기로 결심한다. 늙은 것이 우리의 한계를 정할 수 없다고 이야기하면서!
두 늙은 여인. 그들은 만족할 줄 모르고 불평을 해대지. 우리는 먹을 게 없다고. 젊었을 때가 좋았다고 떠들어댔어. 사실은 더 나을 것도 없었는데 말이야. 우리는 우리가 너무 늙었다고 생각해. 그렇게 오랜 세월 동안 우리가 아무것도 할 줄 모른다고 젊은 사람들에게 인식시켰기 때문에 이제 그들은 우리가 더이상 이 세상에서 아무 쓸모도 없다고 여기는 거야. (p.44)

늙어간다는 것은 사람의 마음을 뒤숭숭하게 만든다. 작년에 비해 다리가 많이 약해진 것 같고, 한 달 전보다 눈이 더 침침해진 것 같고, 또 어제보다 오늘 기력이 더 쇠해진 느낌이 들게 만드는 것. 그러다 보니 늙어가면서 사람들은 자신이 쓸모없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젊은 사람에게 기대다 보니, 어느새 자신이 할 일은 그저 앉아 죽음을 기다리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두 늙은 여인들도 마찬가지였다. 젊은 시절을 회상하면서, 그들은 어느새 세월의 무게에 대한 자신의 한계를 정하고 있었다.
긴 세월 동안 우리는 많은 것들을 배웠어. 하지만 노년에 들어서자 우리는 삶에서 우리의 몫을 다했다고 생각했지. 그래서 더이상 전처럼 일하기를 그만두었어. 우리의 몸은 우리의 예상보다 좀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아직 건강한데도 말이야. (p.44)
그러나 이 소설에 대한 설명이 '노년의 성장소설'이란 것을 생각한다면, 충분히 그들이 그 한계를 이겨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소설 속에서도 그들은 노익장의 모습을 보여준다. 젊은 시절의 자신의 모습을 회상하면서 설피를 만들고, 짐을 끌고, 사냥을 하면서 그렇게 자신들의 힘만으로 생존해나간다.
한편, 작가 벨마 월리스는 버려진 사람들이 '여성'이라는 점에도 초점을 맞춘다. 하루 일과를 마친 그녀들이 모닥불 앞에 앉아 각자 생각을 하다 입을 떼는 장면들 속에서 사는 이렇게 고백한다. "이윽고 내 나이가 더 많아져서 여자가 가정을 꾸려야 하는 나이를 지나자, 모두들 나에 대해 수군거렸어. 나는 도대체 그 이유를 이해할 수가 없었지. 왜냐하면 나는 남자와 함께 살지도 않고 아이도 없었지만, 여전히 내 몫의 일을 해서 식량을 조달하고 있었거든. 남자들보다 더 많은 식량을 구해오는 경우도 여러 차례 있었어. 그런데 사람들은 그런 일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어." (p.80)
그동안 우리는 여성을 한없이 약한 존재로만 생각하지는 않았는가에 대해 생각하도록 한다. 부족원들 사이에서 약한 존재인 여성이 살아남기 위해서 그들은 '결혼'이라는 굴레 속에 반드시 속해 있어야만 했던 것이다. 노인과 여성, 사회에서 약자로 그려지는 두 존재를 작가 벨마 월리스는 ≪두 늙은 여자≫를 통해 보여준다. 그들이 결코 약한 존재가 아님을. 어쩌면 사회가 그들의 대한 한계를 정한 것일 수도 있다고.
모든 고난을 겪은 그녀들은 젊은 세대들을 향한 넓은 포용력을 보여준다. 잠시나마 그들의 짧았던 생각들을 덮어주고, 그들에게 따뜻한 안식처가 되어준다. 세월의 무게를 이겨낸 그들은 그렇게 한층 더 성장하게 된다. 나 자신을 돌아보고, 내 뒤에 있는 사람들까지 돌아볼 수 있는 여유. 그것이 늙음의 미학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