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셰이프 오브 워터
기예르모 델 토로.대니얼 크라우스 지음, 김문주 옮김 / 온다 / 2018년 3월
평점 :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에서 옛 연인과 재회한 삼순에게 진헌은 그 사람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냐고 묻는다. 삼순은 그 질문에 "결국은 다 자기 식대로 보게 되어 있어요, 사람은. 자기 좋을 대로 해석하고 갖다 붙이고……그래서 상대방이 어떤 사람인지 죽었다 깨도 모르는 거죠."라고 답한다. 굳이 연인 간의 사랑이 아니어도 우리는 저마다 자신만의 관점으로 상대방을 바라본다. '그는 그렇게 행동할 거야, 그녀는 그렇게 생각하겠지…'라며 지레짐작한다. 이로 인해서 상대방에게 실망하기도 하고 심각하게는 상대방과의 관계도 틀어지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인간은 이기적일지도 모른다. 왜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지 못하는 걸까.
제90회 아카데미 최우수 작품상을 받은 영화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의 원작인 ≪셰이프 오브 워터≫은 인간과 괴생명체의 사랑이라는 판타지적 요소를 통해 타인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법을 독자들에게 전한다. 손으로 움켜쥐어도 금세 빠져나가는 물에겐 형태가 정해져 있지 않다. 긴 타원형의 컵에 담길 때나 네모난 그릇에 담길 때나 물은 자신을 담아주는 그 사물에 의해서 형태가 정해질 뿐이다. 하지만 그마저도 그 사물로부터 벗어나면 다시 형태 없이 흩어진다.
그는 내가 불완전한 존재란 걸 모르는 눈빛이에요.
나를 있는 그대로 봐주니까요.
들을 수는 있지만 말을 하지 못하는 엘라이자는 항상 화려한 구두를 신고 미 항공 우주 연구소 비밀 실험실로 향한다. 청소부인 그녀는 동료 젤다와 함께 실험실을 청소하며 살아간다. 어느 날, 실험실 F-1 구역에서 새로운 실험이 진행되고 청소를 하러 들어간 엘라이자는 동료 젤다가 당황하는 사이 괴생명체를 보게 된다. 그날부터 엘라이자는 삶은 달걀을 괴생명체에게 전해주며 말을 하지 못해도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바라봐 주는 괴생명체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한편, 실험실의 보안 담당인 스트릭랜드는 한국 전쟁부터 아마존 탐험까지 험난한 과정을 겪으면서 이유 모를 혼란스러움을 겪게 된다. 말을 할 수 없는 엘라이자를 본 스트릭랜드는 조용하고 고요한 그녀에게 묘한 이끌림의 감정을 느낀다.
그녀의 손바닥에 놓인 달걀을 가져갈 때의 그 황홀한 감촉. 한 번은 대담하게도 그녀가 손에 달걀을 올리지 않았는데도 그는 달걀을 잡는 척하며 손을 내밀었고 그녀가 자신의 손을 잡도록 내버려 두었다. 그 순간 둘은 현재도 과거도 아니고 인간도 짐승도 아닌, 여자와 남자였다. (p.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