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방의 누명
MBC 스페셜 <지방의 누명> 제작진 지음 / 디케이제이에스(DKJS) / 2017년 1월
평점 :
[서평후기] '지방의
누명'
- 비만과 대사질환 걱정을
날려주는 국내 최초의 지침서 -


지은이 : 홍주영, <지방의 누명>
제작팀
감수자 : 정명일,
이영훈
펴낸곳 :
(주)DKJS
발행일 : 2017년 1월
16일 초판1쇄
도서가 :
16,000원
세상에는 많은 사람들이 비만과 전쟁을 하고
있습니다. 비만이 대체 어떻길래 사람들이 그렇게 기를 쓰고 해소하려고 할까요? 아름다운 몸매를 위해? 자신감을 가지고 싶어서? 여성분들은
체중감량을 통해 섹시한 몸매를 가지려 하는게 더 큰 요인인 것 같긴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이 아닌가 싶습니다. 비만은 고혈압, 당뇨,
대사질환 등 성인병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이라 알려져 있지요. 비만으로 인해 협심증, 동맥경화, 뇌출혈과 같은 여러 중증 질환을 유발한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비만을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은 칼로리 과다로 인한 지방의 축척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저역시 그렇게 알고 있었고 그렇기에
간헐적 단식과 같은 다이어트 요법들을 수년간에 걸쳐 시행하고 있었구요. 처음에는 효과가 좋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요요현상 떄문인지 예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더군요.. 이번 읽은 도서는 예전 MBC에서 방송하였던 교양다큐프로그램을 한권의 책으로 압축해서 나온 책입니다. <지방의
누명>이라고 꽤나 화제를 불러모았던 프로그램이죠. 책에 따르면 비만을 잡으려면 호르몬을 잘 유지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저탄수화물 고지방
식이요법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입니다.

지은이는 MBC 스페셜의 프로그램을 도서화
한 것이기에 제작팀과 작가가 공동 작업한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영양학과 의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분야이니 만큼 당연히 영양학자와 전문의의
감수자도 있다 하구요. 그 분들 경력은 아래 사진을 참조하면 될 듯 합니다.

책은 <프롤로그. 지방, 알고 먹으면
인생이 바뀐다>, <1부. 지방은 죄가 없다>, <2부. 지방이 체질과 건강을 개선한다>, <3부. 저탄수화물
고지방 식이에 대한 오해와 진실>, <4부. 쉽게 만들고 맛있게 즐기는 저탄수화물 고지방 식단 레시피>,
<감수의 글>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방송에 나왔던 주요 부분은 사진과 함께 빠짐없이 수록되어 있는 것 같네요. 책의 마지막
장에는 저탄수화물 고지방 식단 레시피가 수록되어 있어서 책을 보며 직접 조리할 수도 있게 되어 있습니다.~



책의 첫머리에 나오는
<프롤로그>에는 <지방의 누명>에 대한 제작 과정 이야기가 좀 나오는데 여러 개의 프로그램의 관련되어 있는 것
같더군요. <채식의 함정>, <탄수화물의 경고>의 제작 방영 후에 <지방의 누명>이 방송된 것 같아 보입니다.
이 프로그램들이 모두 MBC 스페셜 <밥상! 상식을 뒤집다>시리즈의 일부인 것 같더군요. 궁금하길래 인터넷에서 찾아봤죠. 총
5부작이었더군요.



책의 시작은 "지방은 죄가 없다"라는
장인데, 여기에 이런 말이 나옵니다. "기존의 상식에 비춰 본다면, 지방은 줄이고 단백질을 늘린 저지방 고단백식이야말로 다이어트식이자
건강식이다." 이것이 그동안 널리 알려져 온 다이어트에 대한 일반 상식이었죠. 하지만 기름진 음식 때문에 살이 찌는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동물성 지방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포화지방이 비만의 주범이라는 상식이 잘못된 상식이라는게죠. 그러면서 여러 사례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버터와 고깃기름으로 1년 30kg을 감량한 미국인 남성, 질 좋은 고기와 채소로 3개월만에 30kg을 감량한 일본인 남성, 버터와 생선,
고기로 95kg을 감량한 스웨덴 남성이 그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책의 특성상 성공사례들만 보여줄 것이기에 그 내용 곧이 곧대로 믿기엔 좀
꺼림찍했어요.. 하지만 책을 읽으면 읽어 갈수록 나도 한번 해봐야겠단 생각이 들더군요.ㅎㅎ

[ 고지방식단으로 95kg 감량한 스웨덴
남성 ]
지방이 오랫동안 비만과 각종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진 계기가 있답니다. 그것은1969년 미국의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심장마비로 사망한 것이라고 하는데요. 이로 인해 심장질환의 근원을
찾겠다며 대대적인 연구 열풍이 있었고 그 결과 나온 것이 안셀 키즈의 논문이랍니다. 그 논문의 주요 내용은 "포화지방의 섭취율이 높을수록
심혈관질환의 위험도 높아진다"는 것이라는 것이구요. 하지만 나중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이 논문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데이터만을 취합
적용하고 맞지 않는 데이터는 고의로 배제시켰으며 배제된 데이터를 포함하면 그 결과는 전혀 달라지게 된다고 하네요.. 여튼 미국 식생활 위원회는
이 잘못된 논문을 근거로 1980년에 권장 식단을 발표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저지방 식단의 시초라 합니다. 여기에서 시작된 저지방 식단의 열풍으로
많은 사람들이 식단에서 지방을 제거했다는데요. 그러다 보니 지방의 달콤한 맛이 사라지게 되어 그 사라진 맛을 설탕으로 채우게 되었고 그 결과로
비만과 당뇨 등 성인병이 급속 증가하게 되었답니다..

[ 안셀 키즈의 논문과 당시 방송 장면
]

세계적으로 영양학계와 의학계를 지배해 온
저지방 신화는 21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답니다. 저지방식단이 정말 건강에 이로운지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는데 그
연구 결과가 놀라웠답니다. 저지방식단보다 저탄수화물식단이 체중감량 효과가 월등하게 좋았고 식이성 콜레스테롤의 섭취와 혈중 콜레스테롤 간에는
뚜렷한 연관성이 없더라는 겁니다. 그 결과 많은 국가에서 지방 섭취의 제한을 풀게 되었고과 저지방 식단을 권유하지 않게 되었다는군요.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방보다는 탄수화물이 몸에 더 좋지 않다고 합니다. 정제된 탄수화물을 섭취하게 되면 바로 몸에 흡수되면서 혈당이 치솟게
되는데 그로 인해 당을 조절하기 위해 우리의 몸에서는 인슐린이 분비되고 과도하게 탄수화물의 섭취로 이러한 기능에 문제가 생겨서 당뇨가 생기게
된다는 겁니다. 과유불급이라고 당연히 뭐든 과하면 좋지 않겠죠..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쌀밥을 주식으로 해왔기에 탄수화물 중독이 많은 편이라
합니다. 대체로 아시아 국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라네요..

[ 탄수화물 중독 자가 진단표
]
아무튼 책에서 말하는 핵심은 저탄수화물
고지방 식단으로 바꾸어야 건강해지고 병도 잘 안걸리게 된다는 것인데요. 그 식단에 좋은 것으로 들고 있는게 버터와 치즈, 고기와 달걀입니다.
물론 이 식단으로도 과식은 금물이구요. 그런데 우유는 권장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우유에는 유당이 많은데 한국인의 75%는 유당 분해효소가 없기
때문이라 합니다. 심지어 과일도 과당이 많기 때문에 금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선별적으로 골라 먹는 것도 많이 힘들 것 같단 생각이 드네요..
책을 다 읽고 나서는 이걸 믿고 따라해봐야
하나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워낙에 다이어트와 건강에 대한 기존의 상식을 뒤집는 내용이어서 말이죠. 하지만 예전에 읽었던 책에서도 밥, 빵,
면을 줄여야 건강해진다는 내용이 생각나 한번 해보려 합니다. 식사할 때 국과 반찬만 먹는 것으로 시작해보는 것이죠. 한달 정도 해 보고
저탄수화물 식이요법이 괜찮은지 봐야겠어요. 고지방 식이요법은 그 다음에 해보려 합니다.^^

이처럼 책은 기존의 식단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줍니다. 과연 밥심으로 살아가는게 건강에 좋은건지, 밥/빵/면을 줄이는게 건강하게 살아가는 필수조건인지 말이죠. 이 책을 읽고
나니 앞으로 영양학자나 의사들 말 믿고 따랐다간 한번 뿐인 인생 골골거리겠단 생각이 들더군요. 책에도 써 있듯이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체험적으로
찾아가야 할 것 같습니다. 신체건강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받아들여야 할 시기인 중장년층들에게 여러모로 유익한 내용의 좋은 책이란 생각이
듭니다.~
지방의 누명
- 작가
- MBC 스페셜 지방의 누명 제작진
- 출판
- 디케이제이에스(DKJS)
- 발매
- 2017.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