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책마을을 가다 - 사랑하는 이와 함께 걷고 싶은 동네
정진국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사랑하는 사람이 살고 싶은 마을, '책마을'을 가다
 

사랑하는 이와 함께 걷고 싶은 동네, 유럽의 책마을을 가다

- 정진국 지음.




  길게는 십 몇 년 전부터 유럽 여러 나라에서 ‘책마을’이 늘어나고 있다. EU의 출범으로 인하여 유럽은 급속도로 공동체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세계화의 가속도에 불을 붙였고, 이로 인하여 러시아의 부동산 투기 세력이 거대한 자본력을 기반으로 유럽 전역에 부동산 투기를 하면서, 자본력이 약한 소규모의 책방들이 우선적으로 희생을 당하게 되었다. 책방들이 몰락하는 데에는 인터넷과 휴대폰들도 한 몫을 단단히 했다. 새롭고 간편한 유흥거리의 등장으로 인해, 고전적인 유흥거리였던 책은 더더욱 발붙일 곳을 잃어갔다.




  ‘세계화’로 인하여 설 곳을 잃은 것은 비단 출판업과 서점뿐이 아니었다. 세계화는 도시화를 불러왔고, 이로 인하여 농촌도 존폐의 위기에 서게 되었다. 이러한 세계화, 도시화에 대한 반발성 움직임으로 인해 농촌과 서점이 만나게 되었다. 그래서 나온 결과물이 바로 ‘책마을’이다. 인터넷과 대형서점들의 등장으로 도시에서 자취를 감추었던 중고, 중소 서적상들이 그 터전을 농촌으로 옮기고, ‘책마을’을 형성하여 관광객을 끌어 모으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침체되었던 농촌 경제를 되살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전 유럽적인 ‘책마을’ 현상은 지방문화에 활력을 부여하기 위한 지자체의 정치적 실험이자 애서가들에게는 ‘책 사랑’을 표현하는 사회운동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작가는 스위스, 프랑스, 베네룩스 3국, 스칸디나비아, 독일, 영국 등 유럽 여러국가를 돌면서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책마을’을 방문한 기록을 [사랑하는 이와 함께 걷고 싶은 동네, 유럽의 책마을을 가다]라는 책으로 만들어 냈다. 유럽 대륙에 그렇게나 많은 ‘책마을’이 존재하는지 몰랐던 독자는, 생각보다 많은 ‘책마을’의 수에 한번 놀라고 각기 다른 ‘책마을’의 성격과 ‘책마을’을 지키고 있는 애서가 이자 서적상들의 모습에 또 한 번 놀라게 된다. 또한 ‘리처드 부스’라는 사람에 의해 주도되는 ‘책마을’을 획일적인 형성모습에 반기를 든 심지 굳은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서, 반세계화적 정신에서 태어난 ‘책마을’이 오히려 ‘세계적’이자 ‘획일적’인 모습을 형성해가고 있는 데에 대한 생각을 해보게 된다.




  유럽의 책마을은 우리나라의 책마을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우리나라에 조성된 책마을을 ‘새 책’을 만들어내는 출판도시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그 주도자들 또한 출판사이다. 하지만 유럽의 책마을을 ‘새 책’보다는 ‘헌 책’이 주된 주인공이고, 초야에 묻혀있던 보석 같은 서적을 발굴해내는 재미를 선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렇게 한국과는 다른 토양에서 다른 모습으로 발전한 ‘책마을’을 지켜보는 것은 한국의 출판업계와 ‘책마을’에 시사한 바가 크다. 마케팅과 사업으로서의 ‘책마을’이 아닌, 함께 즐기고 발견해내는 즐거움을 선사하는 ‘책마을’. 진정으로 책을 사랑하는 사람이 살고싶은 그런 마을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