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막스 티볼리의 고백
앤드루 손 그리어 지음, 윤희기 옮김 / 시공사 / 2008년 3월
평점 :
그는 그의 전 생애에 걸쳐 오직 한 여자를 사랑했다. 이성적인 감정이 무엇인지 몰랐을때, 그야말로 천둥벌거숭이 어린아이시절에는 그저 그녀는 그에게 있어 한 폭의 풍경화에 지나지 않았다. 다가갈 수도, 만질 수도 없는 그런 존재, 그냥 지켜볼 수 있는 아무런 감정의 대상이 되지 못하던 존재였다. 하지만 세월이 지나 사랑의 떨림이 무엇인지, 그로 인한 미칠것 같은 열병을 앓을 나이가 되서 그는 그녀를 다시 만났고 사랑하게 되었다. 그는 평생에 단 한번 뿐인 사랑을 했지만 그 사랑은 로맨틱하지도 애절하지도 못했다. 그는 평생의 단 한 사랑을 2번 헤어졌고 3번 다시 만났다. 그의 사랑은 휴이를 제외한 세상사람들에게 따뜻한 사랑을, 무심한 인정을 받을 수 없었다. 그 것은 오직 그가 남과 다르기 때문에 빚어진 일들 중 하나였다.
막스 티볼리. 그는 세상에 남과 다르게 태어났다. 그는 특별했다. 아니 기괴했다. 그는 70세 노인의 외모로 세상에 태어났고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어려지는 외모를 가졌다. 신은 그에게만 시간이 거꾸로 흐르는 벌을 주었다. 이유는 뭔지 몰라도 그 때문에 막스는 외로웠다. 자신을 외모와는 상관없이 사랑해주던(어쩌면 아닐지도 모르겠다) 할머니의 죽음 이후 그는 생물학적 나이가 아니라 '사람들이 생각하는 나이'에 맞추어 살아간다. 때문에 다가온 첫사랑에게 진심을 다했던 첫키스가 이별의 도화선이 되었고, 시간이 흘러 다시 그녀를 만났을때 그는 '막스 티볼리'가 아닌 '아스가르 반 달러'가 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다시 이별 후 그녀를 만났을 때는 '막스 티볼리'도 '아스가르 반 달러'도 아닌 '리틀 휴이'가 되어야만 했다.
막스는 이렇게 자신에게 주어진 형벌(왜 신은 그에게 시간이 거꾸로 흐르는 형벌을 주었을까? 다름과 틀림에 민감한 인간에게 그의 경우는 축복이 아닌 형벌, 저주였음이 틀림없다)로 평생을 살아갔다. 그리고 그렇게나 숨겨왔던 사실을 밝히는 것은 죽음에 가까운 나이가 되어 자신을 떠났던 아내와 아들 곁에서 '리틀 휴이' 로 살아가면서 이다. 그는 이미 자신의 죽음이 다른 사람과 같을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때문에 아내와 아들의 곁에서 -비록 자신의 정체를 알릴 수는 없지만- 행복했지만 그들의 행복을 위해 처방전을 위조하고 극약을 모은다. 그리고 나중에 아들 새미가 아버지에 대해 알게 될 때를 대비하여 자신의 인생을 고백한다. 자신의 탄생과 자신의 사랑, 그리고 아버지의 실종, 평생을 같이 한 친구와의 만남과 우정까지. 막스는 자신의 전 생애와 숨겨왔던 비밀을 고백한다. [막스 티볼리의 고백]은 그의 고백서임과 동시에 그의 인생을 담아낸 자서전이었다.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흐른다]는 영화의 티저영상을 봤을때 나는 원작인 동명의 소설 보다는 이 [막스 티볼리의 고백]이 떠올랐다. 시간이 흐를수록 거꾸로 나이가 들어가는 외모를 가진 남자의 평생의 단 한 사랑. 그 영화를 관통하고 있는 중심 이야기가 [막스 티볼리의 고백]과 닮아있다고 느꼈다. 하지만 벤자민 버튼과는 달리 쓸쓸히 극약을 삼키고 죽어갈 막스 티볼리의 삶은 비록 부모에게는 버림받지 않았으나 노인요양원에 버려졌던 벤자민보다 더 슬픈 생애가 아니었었나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