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자의 편지 - 유목여행자 박동식 산문집
박동식 글.사진 / 북하우스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는 '여행자'다. 그는 세상을 발길 닫는 데로 걸으며 살아간다. 그는 내게 있어 일종의 '동경의 대상'이기도 하다. 나도 여행을 다니며, 글을 쓰며 살고 싶다. 하지만 주어진 재능이 없는 것보다도 더 슬픈 것은 내게는 떠날 용기가 없다는 것이다. 그는 떠날 용기가 있었기에 누군가에게는 '부러움의 대상'이 될 수 있었고, 누군가에게는 '여행길의 선배'가 될 수 있었다. 그리고 그에게는 발목을 잡는 '생활의 그 무언가' 보다는 '떠남의 갈망'이 더 컸기에 여러곳을 다니며 많은 것을 보고 많은 것을 느끼며 생각할 수 있었다. [여행자의 편지]는 그러한 산물이다.

 

그는 결코 편한 곳을 찾아다니지 않았다. 오히려 이상하다 싶을 정도로 낙후된 곳, 불편하고 더러운 곳을 찾아다녔다. 그에게 있어 깨끗하게 정리된 호텔, 수발을 들어 줄 웨이터가 있는 레스토랑은 아마 상상도 하지 않을 사치에 불과했을 것이다. 그는 그냥 평범한, 삶에 쫓기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시장통 한 귀퉁이에서 바케트로 만든 샌드위치를 사먹으면서, 시골 교정에 걸린 타이어 휠과 점심도 먹지 못한채 배고픔을 달래는 아이들과 어울리면서 타지의 맨바닥에 몸을 부딪혔다. 그에게 있어 여행이란 '관광'이 아니라 '삶의 일부'가 되었다. 그는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을 자신의 삶으로 받아들였다. 때문에 그는 허술한 숙소에서 만난 아직은 어린 청년에게 자신의 손목시계를 풀어 건낼 수 있었고, 그들 또한 그에게 맛있는 브리또를, 트럭 짐칸의 한 켠을 내주었다.

 

그는 내가 살 수 없는, 전혀 가능성 없는 삶을 살고 있다. 난 가난도 싫고 그로 인한 더러움도 견딜수 없는 이기적인 인간이다. 세상에서 내가 제일 잘났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세상이 정해놓은 일정한 규격에는 맞추어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극히 일반적인 사람이다. 때문에 그의 책을 읽으면서 '과연 그는 왜 이렇게 후진국만을 여행하는 것일까'라는 의문에 '그저 그는 높은 곳에서 자기보다 못한 곳을 바라보고 싶었을 뿐이다'는 못된 결론을 내리기도 했다. 이것은 다 질투 탓이다. 내가 가지못한 그 길, 앞으로도 가지 못 할 그 길을 당당하고 겁없이 걸어가는 그에 대한 부러움과 그로 인한 시기 탓이었다. 어쩌면 그는 그의 그 긴 여행의 짧은 한 순간에서는 내가 생각하는 그런 기분을 느꼈을지도 모른다. 순전히 나의 생각이긴하지만, '나보다 못 한 사람들을 보면서 느끼는 안도감과 측은지심, 가진 자로서 못가진 자를 보는 동정심'을 말이다. 하지만 결국 그가 진정으로 그런 곳을 찾아다니는 것은 '스스로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왜 여행자는 구도자와도 비슷하다고들 하지 않던가. 그는 여행을 하면서 경쟁적인 삶에서는 쉬이 생각할 수 없었던 무언가에 대한 생각을 한다. 우리가 언제 '죽음'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가 있을까? 하지만 그는 무덤가에서 화장터에서 마주한 '나와는 무관한' 사람들의 죽음을 보면서 죽음을 생각한다. 관광이 아닌 여행은 그러한 것이다. 무언가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

 

박동식의 [여행자의 편지]는 그러한 소중한 기회들을 통해 그가 깨닫고 얻어낸 여러 결과들을 담아낸 책이다. 나처럼 편안한 관광은 떠날 수 있지만, 진정한 여행을 떠날 수 없는 이들에게, 그는 여행을 떠나보라고 한다. 떠나서 낯선 이들과 만나고 부딪히면서 그렇게 새로운 삶을 살아보는 것이 어떻냐고 묻는다. 그렇게 떠났다 어차피 돌아올 삶은 지금과 별다를 게 없다는 것을 우리는 안다. 내가 없는 세상에 큰일이라곤 생기지 않음을, 나 하나 대한민국을 잠시 비운다고 일이 잘못되지 않음을 우리는 안다. 하지만 나는 아직 겁이 많은 사람이기에 그의 유혹에도 용기를 내지 못하고, 그저 그의 책을 읽으며 미세한 두근거림과 갈증을 느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