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 시스터즈 키퍼 - 쌍둥이별
조디 피콜트 지음, 곽영미 옮김 / 이레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사건은 누군가가 되어가고 있는 한 소녀에 관한 것입니다. 그 소녀는 열세 살 입니다. 열세 살은 힘들고, 아프고, 아름답고, 난해하고, 들뜨는 나이지요. 지금 당장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고, 지금 자신이 누구인지 모르지만, 그것을 알아낼 기회를 받을만한 소녀입니다.  앞으로 십 년 후면, 제 생각에, 이 소녀는 아주 놀라운 숙녀가 되어있을 겁니다. 

 
- [쌍둥이 별] 572 페이지  


 

이 것은 고작 13살밖에 되지 않은 어린 소녀에 관한 이야기이다. 안드로메다 별자리의 이름을 따와 안나라는 이름을 가진 귀여운 소녀. 그녀는 타고난 하키선수이고, 또 이성에 대해 눈을 뜨기 시작한 사랑에 관한 초보자이기도 하다. 그녀는 하고싶은 일도 많다. 다른 아이들처럼 친구집에 초대되어 친구와 함께 밤을 지내고 싶기도 하고, 국가대표가 주최하는 하키캠프에 참여도 하고싶다. 하지만 그렇게나 하고싶은 일이 많은 그녀에게 허락되는 것은 몇 가지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바로 그녀가 누군가를 위해 만들어진, 아니 특별하게 탄생된 아이이기 때문이다.

 

그녀는 남들처럼 값싼 포도주나 보름달, 순간의 흥분에 따른 결과가 아니다. 그녀는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특수하게 태어나게 된 아이이다. 그렇다. 그녀는 맞춤아이이다. 그녀는 희귀 백혈병에 걸린 언니를 살리기 위해 태어났다. 그리고 그녀는 자신에게 주어진 임무를 멋지게 치루어 냈다. 처음에는 탯줄에서 때어낸 제대혈이었다. 그 다음은 공여자림프구 였고, 그 다음은 과립구 였다. 그렇게 안나는 몇 번이나 언니 케이트의 병세를 따라 병원에 입원하고, 시체의 일부를 채취당하고, 치료를 받고 퇴원을 했다. 때문에 안나는 많은 것을 포기해야했다. 친구들의 생일도, 가족간의 나들이도. 그리고 어느날 엄마는 '신장기증'을 하자고 한다. 언니를 살릴 수 있는 마지막 방법, 하지만 안나는 조용히 엄마를 따라 병원으로 가는 대신에 변호사를 찾는다. 자신의 몸에 대한 권리를 찾기위해.

 

[쌍둥이 별]은 가족 구성원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 특수하게 태어난 아이와 그 가족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불치병에 걸린 가족을 둔 사람들을 비롯한 어떤 사람들은 맞춤아이가 희망의 불씨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도 존재한다. 때문에 맞춤아이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은 요즘에도 그 두 주장은 끊임없이 대립하고 반목한다. 굳이 나에게 누군가 어느 한편의 의견을 편들라고 한다면 나는 후자에 속한다. 처음부터 무언가로 이용되기 위해서 조작되어져 태어난 아기, 진짜로 운이 좋아 제대혈만으로 병을 고치고 그 아기가 행복하게 살 수 있다면 아무런 문제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안나와 케이트의 경우처럼 제대혈, 림프구, 과립구, 그리고 마침내 신장기증까지 강요받아야 한다면? 과연 그 아이의 인권은? 그 아이의 행복은?

누군가의 생명과 누군가의 인권이 충돌되는 이 주제안에서 그 누구도 솔로몬처럼 해답을 줄 순 없다. 설사 솔로몬이 판결을 내린다 하더라고 이 문제에서는 공명정대해지기 힘들 것이다. 때문에 이 두꺼운 책을 쉴 사이없이 읽어내려갔다. 누구도 정답을 줄 수 없는 이 상황에서 과연 법은 어떤 답을 보여줄 것인지, 과연 그 결정은 안나와 케이트에게 어떤 결과를 미칠것인지.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더 깊이 빠져들었던 것은 이 이야기가 환자를 구성원으로 둔 가족들의 이야기를 사실적으로 그려냈기 때문이었다. 언제 죽을지 모르는 병약하고 위태로운 여동생 때문에 오빠인 제시는 항상 소외받았고 결국에는 삐뚤어진 길을 가게된다. 부모님과 담을 쌓고 난폭하게 차를 몰고 불을 지른다. 엄마는 아픈 케이트를 돌보느라 제시와 안나에게 소홀해진다. 미안하지만 죽음과 삶의 경계에 있는 아이를 위해서 건강한 아이들에게 소홀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아빠, 브라이언은 언제나 굳건히 자신의 가족을 지켜왔지만 사실은 그도 그 누구보다도 이 상황이 슬프고 괴롭다. 때문에 그는 퇴근 후 집으로 돌아가는 발걸음을 늦춘다. 이렇게 사실은 엄청나게 위태로웠던 가족, 그 안에서 가장 우선시되어왔던 케이트조차  사실은 죽음을 원하고 자살을 시도할만큼, 이 가정안에서 그 누구도 행복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 위태로움은 안나의 선택으로 깨어져버린다.

 

사실 안나는 언니에게 신장을 주기싫어서 소송을 선택한 것이 아니었다. 끝도 모르고 계속되는 치료로 죽는 것보다 더 괴로워하는 언니를 위해 그리고 자신을 위해 소송을 선택한 것이었다. 엄마가 너무나 당연스레 안나에게 신장기증을 요구하지 않았더라면 아마도 안나는 선뜻 자신의 신장을 언니에게 기증하고 이야기는 그대로 끝을 맺었을 것이다. 사실 이 소송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그동안 수차례 이루어져 왔던 기증과 채혈에 안나의 의지가 결여되어왔다는 데에 있었다. 때문에 나는 이 점이 무엇보다도 부각되길 바랬고, 때문에 이 이야기의 결말에 실망하고 화가 났다. 갑작스러운 죽음과 자연스러운 신장기증이라니... 허! 참! 결국 작가는 안나의 존재를 필요에 의한 존재로 만들어버렸다. 작가 자신이 원했던 이야기는 그게 아니었을텐데, 너무나 허무하게도 그 자신이 선택한 결말이 그 것을 망쳐버렸다.  너무나 좋은 소재의 선택과 신선한 이야기 전개, 그리고 흡입력까지 너무나도 좋은 작품이 너무나 진부한 결말로 완전히 망가뜨려졌음이 아쉬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