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만장자를 위한 공짜 음식 2
이민진 지음, 이옥용 옮김 / 이미지박스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군가는 이민을 나무를 뿌리채 뽑아 전과는 전혀 다른 토양에 옮겨심어 놓은 것과도 같다고 했다.지금껏 아무런 저항 없이 뿌리를 내리고 조용하게 살았던 나무의 일상이, 뿌리가 뽑혀 전혀 다른 땅에 옮겨심어지게 된다면, 그 나무에게는 과연 어떤 일이 생길까?

대충 생각해봐도 그 나무의 앞날이 평탄하지 않을 것이란 건 자명하다. 전과는 전혀 다른 환경에서 풍토병을 앓아 죽어버릴 수도 있고, 전과는 전혀다른 토양의 영양분을 받아 들이며 잔병을 앓을 것이다.

 

이민자의 삶 또한 이 나무와 같을 것이다. 지금껏 자신이, 아니 자신을 비롯한 그의 가족과 조상이 몇 백년간 살아온 문화에서 벗어나 살색도 눈동자 색도, 코 높이도 너무 다른 그네들과 부딪히며 살아간다는 것은 엄청난 각오를 하지 않고는 감히 실행에 옮길 수 없는 큰일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세계 곳곳에 "해외교포"라는 이름을 가진, 그 엄청난 일을 실행해 낸 사람들이 많이 있다. 그들 중의 많은 사람들이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미국으로 건너갔고, 최초의 이민자가 한국땅과 태평양을 건너 미국땅을 밟은 지도 벌써 백년이 훨씬 넘었다.

그리고 "미국교포"들은 1세대, 2세대를 지나 몇 세대를 이루고 미국땅에서 노랗고 납작한 얼굴을 가진채 살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그들이 그 세월을 살아오는 동안 그들의 삶은 어땠을까? 조금은 먹고 살기가 수월해진 요즘, 우리는 그들에게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벽안의 미국인들에게 있어 한국인은 성실하고 얌전하며 근면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이는 곧 한국인은 돈만 밝히고 수동적이라는 평가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런 평가 속에서 마치 물위에 뜬 기름처럼 미국땅에 억지로 뿌리를 내리고 살았던 그 많은 교포 중 하나인 이민진이 바로 자신을 비롯한 한국계 미국여성에 관한 이야기를 책으로 써냈다.

 

명문대를 나왔지만 세탁소를 하며 늘 풍족하지 못한 집안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케이시, 비록 어머니는 어린시절 잃어 아버지 손에 자랐지만 언제나 따뜻한 마음을 잃지않는 부잣집 아가씨 엘라, mit를 다니는 케이시의 동생 티나, 그리고 어린 나이에 나이많은 남자의 후처로 들어가 평생을 인내하고 숨죽이며 살아온 리아. 이들은 모두 자라난 환경, 나이, 성격이 다르지만 미국이란 땅에서 살아가는 한국계 여성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리고 [백만장자를 위한 공짜음식]을 통해 우리는 그녀들의 이야기를 읽고, 현재 미국에 살고 있는 교포들, 교포여성들의 삶을 알아갈 수 있다.

 

모든 사교활동이 교회를 통해 이루어지는 미국 교민 사회에서 그들은 서로를 너무나도 잘 안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절대 용납되지 않을 무례함도 한국계이기에 용서가 된다. 이렇게 미국에서 살며 영어를 쓰지만 한국의 정서가 바닥에 가득 자리잡은 그네들의 사회에서, 스스로를 미국인이라고 생각하는 교포 젊은이들은 혼란을 겪게된다. 자신들에게 주어지는 한국식의 보수적인 잣대, 그 잣대는 여성들들에게 더 가혹하고 철저하다. [백만장자를 위한 공짜음식]은 이렇게 스스로가 말도 않된다고 생각하는 상황에 처해있는 여성들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순종하는 삶을 살다 말도 못할 배신에 자살기도를 감행했던 엘라, 결혼까지 생각했던 약혼자의 배신과 애인의 도박중독으로 괴로워하던 케이시, 가족의 촉망을 받으며 바른길을 간다고 생각한 티나, 남편을 배신하고 죄를 지었다며 자책하는 리아. 너무나도 다른 그녀들이기에 그녀들에게 다가온 위기와 갈등또한 제각각이다.

하지만, 그녀들은 스스로 혹은 타인의 배려를 통해 스스로를 치유하고 사랑을 쟁취한다.

 

바다를 건너간 유자가 탱자가 된 것처럼, 뿌리를 옮겨간 나무는 몇차례 극심한 몸살을 겪고 그 중 몇번은 죽음의 문턱까지 다녀온 후 다시 건강하게 자라난다. 그 나무처럼 백여년 전 미국으로 건너가 터를 잡고사는 한인들도 각기 자기만의 고통과 몸살을 겪고, 그 안에서 당당히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다시 사랑에 믿고 사랑을 할 수 있게 된 엘라처럼, 돈과 상관없이 자신의 길을 가려고 마음먹은 케이시처럼...  미국에 사는 한국계여성들이여, 브라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