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겁게 사랑하거나 쿨하게 떠나거나
미라 커센바움 지음, 김진세 옮김 / 고려원북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남자는 그렇게 여자를 애처로운, 혹은 원망스런 눈빛으로 쳐다본다.

[사랑은 움직이는 거야]

여자는 당당하게 자신의 변심을 남자에게 전한다.

[사랑에 유통기한이 있다면, 내 사랑은 만년으로 하고싶다..]

결론은 이거다.

 사랑에는 유통기간이 있다는거, 그리고 그 유통기간은 취급자와 제조자에 따라 다르다는거.

 

세상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매일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고, 또 끝마치며 그리고 진행한다.

하지만 어느 연구결과에서도 나왔다시피 과학적으로는!!!

연애세포라는 것도 수명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아무리 연애세포라는 것이 수명이 있고, 사랑에 유통기간이 있다해도 사람의 감정을 무자르듯이 뚝! 잘라내버릴수는 없는 것!!!

때문에 '헤어져야 하나?' '계속 만남을 이어가야할까?'라는 선택의 갈림길에서 사람들은 방황하기 마련이다. 미라커센바움은 [뜨겁게 사랑하거나 쿨하게 떠나거나]에서 이러한 감정상태를 양가감정이라고 정의한다.

 

'ing' 와 'end' 이 사이에서 헷갈려하는 커플은 사랑을 하는 커플의 수만큼이나 많다.

하지만 이러한 연인사이의 문제, 혹은 부부간의 문제에 있어서 정확히!! '이거야!!'하고 답을 제시해주는 사람은 없다. 왜냐면 만남과 이별 그 두 문제는 너무나 미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누구도 시원스레 답을 내려줄수 없는 심오한 문제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오히려 그런 답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사람을 찾아다니며 고민의 고민을 거듭한다.

 

미라커센바움의 [뜨겁게 사랑하거나 쿨하게 떠나거나]는 그런 커플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책인듯 하다.

이 책은 만남과 헤어짐의 문제를  남녀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개인의 '선택'에 초점을 둔 책이다.

어떤 '선택'이 나를 위해, 그 혹은 그녀와 나를 위해 더 좋은 선택일까?

 

[뜨겁게 사랑하거나 쿨하게 떠나거나]

책의 제목에서도 너무나 확연히 밝히고 있는 것 처럼 이 책의 궁극적인 목적은 양가감정 중 확실한 선택을 통해 조금더 행복해지기를 추구하는 책이다.

하지만 한사람의, 아니 두 사람의 어쩌면 그보다 많은 사람의 감정과 추억그리고 미래가 달려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한 쪽 길을 선택하는 것이 밥내기 사다리타기마냥 쉽게 결정할 문제는 아니다.

헤어진다고 꼭 불행해지는 것도 아니고 참고 함께한다해도 행복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반대의 경우도 마찮가지이다.

헤어지고 속시원해졌다고 행복해지는 것도 아니고 함께한다고 불행해지는 것만도 아니다.

심리치료사라는 작자는 자신의 이력을 십분 활용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사례를 들어 독자-혹은 선택의 기로에 선 사람들-의 이해를 돕는다.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라는 책에서 부터 많은 책들이 남성과 여성의 차이에 집중해 그들의 관계를 개선하는데 주력했다면 [뜨겁게 사랑하거나 쿨하게 떠나거나]는 그러한 차이를 인지하는 것에서 벗어나 그 두 성(姓)의 차이를 이해하고 응용하여 자신의 행복을 위한 선택을 내리는데까지 나아간다.

 

사랑을 하고 있는 사람, 사랑을 시작한 사람, 그리고 이별을 앞에두고 고민하는 사람들이 읽어보면 어떨까한다. 물론 만인만색처럼 각기 처해있는 상황이 다르지만 앞으로 어떤선택을 내려 자신이 행복해질수 있을지에 대한 도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