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의 영혼 2 - 뫼비우스 서재
막심 샤탕 지음, 이세진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미국 드라마 중 <Criminal Mind>라는 드라마가 있다.

이드라마는 미국 FBI의 BAU(행동분석팀)의 활동을 그린 드라마로 <양들의 침묵>이후 여러곳에서 주목받고 있는 프로파일러들을 주인공으로 하고있다. 땅덩이도 넓고 그 많큼 사람도 많은 탓인지 미전역에서 발생하는 연쇄살인등의 강력범죄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파일러들의 활약상은 그야말로 대단하다. 사건의 증거등을 살피며 범인이 흘린 실수의 조각들로 범인을 찾아가기 보다는 전체적인 틀에서 사건을 바라보고 그 것을 통해 취합한 정보들을 통해 범인이 어떤 사람인지(어떤 인종의 어떤 직업을 가진 사람인가) 윤곽을 잡아주면 수사가 좀더 빨리 해결될 수 있도록 결정적인 역활을 하는 사람들. 그들이 바로 프로파일러이다.

 

막심샤탕. 이 프랑스 작가는 프랑스에서는 거의 전무하다시피한(한국에선 말할것도 없는) 장르에서 이 <악의 영혼> 이란 작품하나로 입지를 굳힌 사람이다. 그는 자기 작품의 많은 부분을 독자를 위해 설정한듯하다. 세계의 거의모든 곳에서 미국의 스릴러작품들은 읽혀지고있고 어느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건 그런 작품을 대했을때 거부감을 갖지 않는다. 너무 익숙해져 버린 탓이다.때문에 막심샤탕도 모험을 한다.

프랑스인인 그가 미국을 배경으로 한, 그것도 FBI출신 미국인 강력계형사 브롤린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작품을 썼다는 것은 보다 독자에게 거부감없이 다가가고 싶었던 선택이었을 것이다.

 

아무튼 이 프랑스 작가가 쓴 <악의 영혼>은 헐리웃영화와 너무나도 닮아있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을듯 하다. 흡사 <양들의 침묵>의 버팔로빌과 그외 유사한 연쇄살인자 캐릭터를 연상시키는 무자비한 범인과 그를 쫓는 아직은 어린(마친 스탈링처럼) 프로파일러.  너무나도 진부한 캐릭터와 갈등의 설정이다. 또한 범인이 왜 그렇게 잔혹한 범죄를 저지르게 되었는가의 설명도 꽤나 익숙하다.

때문에 프랑스 적인 그 무언가를 기대하고 책을 읽었다면 실망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 책에서 거론되는 프랑스 적인 거라고는 여주인공인 줄리에타(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가 프랑스계라는 것이고 또 그들이 사건을 풀어가는데 도움을 준 앙토니 데조가 프랑스 백작가 출신이라는 점 정도이다. 프랑스 인이 썼지만 와인냄새가 나기보다는 프렌치후라이의 냄새가 나는 미국적인 소설이 바로 <악의 영혼>이다.

 

그럼에도 이 책을 읽는 것이 그리 따분하다고 생각되지 않는 것은 바로 생생한 사건묘사와 사건의 진행 모습에 있다.

막심샤탕은 이 작품을 쓰기위해 범죄학과 범죄심리학등의 수업을 듣고 직접 부검에도 참여하는등 보다 생생하고 사실적인 소설을 쓰기위해 동분서주했다. 그리고 그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아무리 아름다운 글이라도 현실과 사실이란 기반없이 쓰여졌다면 단순한 글자들의 모임일 뿐이다. 그러한 면에서 샤탕의 <악의 영혼>은 작가의 노고를 치하해 줄만한 작품이라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