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머니
이시다 이라 지음, 오유리 옮김 / 토파즈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일본은 여러면에서 한국과 닮아있는데 비단 그것이 외양적인 면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활속 아주 세세한것까지 속속들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경제도 마찮가지이다. 우리나라가 몇년전의 일본의 경제모델과 유사하게 닮아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이 상황을 경계하고 공부하는 것이다.

때문에 이시다 이라의 <빅 머니>는 시사하는 점이 많은 작품이다.

 

시라토 노리미치는 그저그런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이 안되 동네 파칭코를 전전하며 시간을 허비하는 인간이다. 매일 승률을 계산하고 그냥 본전치기 인생을 살아가던 노리미치는 우연히 길에서 그의 운명을 크게 바꾸어 놓을 고즈카란 노인을 만나게된다. 우익 깡패들조차 고개를 숙이며 알아서 모시는 수상한 노인 고즈카.

노리미치는 고즈카 노인의 눈에 띄여 자신도 알지 못했던 그의 재능으로 경제에 대한 눈을 뜨게된다. 그저 숫자들이 어지럽게 나열되있는 빨간 전광판과 마치 기호와 같은 숫자들. 경제와 주식. 파칭코에서 주먹구구식으로 따져대던 승률과는 상대도 안되는 심오한 세계로 일단 발을 들여 놓은 순간 노리미치는 겉잡을수 없이 빠져든다. 사랑스런 여자친구와의 헤어짐도 감수하면서 빠져든 그 세계는 노리미치로 하여 일본의 새로운 면을 보게한다.

 

합법이란 이름으로 힘없는 노인들에게서 재산뿐 아니라 끝내 목숨마저 앗아가는 금융권. 그런 그들에게 어떠한 제제도 가하지 않고 뒷짐만 진 국가. 그리고 그러면서 썩어가 이제는 밑둥마저 흔들리는 일본.  돈이라는 물질적 쾌락을 좇는데만 급급해 인륜과 도덕도 사라져버린 삭막한 현실.

그 앞에서 허무하게 허송세월했던 노리미치도 분노하고 합법적으로 혼내줄 수 없는 그들을 징벌하기위해 고즈카 노인에게 적극 협력한다.

 

사실 이러한 모습이 남의 이야기로만 느껴지지 않는것은 우리나라도 이와 비슷한 경우를 겪었었기 때문일 것이다. 거대한 기업들이 쓰러지고 하루아침에 내가 거래하던 은행이 문을 닫고 돈을 찾기위해 은행건물앞에 길게 늘어서 사람들. 사람들..

바로 몇해전의 IMF때의 우리나라의 모습을 다시 보는 듯하다.

 

이시다 이라의 <빅 머니>는 일본이 한창 거품경기를 지나 급격한 하양선을 타기 시작한 1980년대 후반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하늘 높은줄 모르고 치솟던 땅값이 말도 안되게 가격이 떨어지고, 집을 사기위해 은행에서 거액을 빌렸던 사람들은 빚을 이기지 못해 자살하고 .. 그야말로 아비규환이 시작되던 그 시기를 배경으로 이시다 이라는 마지막남은 개인적인 정의를 바로 잡으려는 인물들을 보여준다. 그리고 사람들은 마치 헐리웃의 영웅 영화를 보는 듯한 기분으로 노리미치와 고즈카 노인을 응원한다. 별볼일 없이 허송세월하던 백수가 돈에 눈 뜨고 멋있게 변신하며 불의에 분노하는 모습으로 한발짝씩 앞으로 전진하는 노리미치를 보면 쉴새없이 이야기는 앞으로 달려간다.하지만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이시다 이라는 독자의 뒷통수를 후려갈기며 한템포 쉬어가는 계기를 만든다. 그리고 결국엔..

 

단순한 이야기이지만 사실 경제에 관해서 시사하는 점이 많은 이야기였다. 이시다 이라는 주식과 투자에 대한 설명이 아닌 내가 알지못하는 세계에서 벌어지는 어떤 사건이 결국엔 나에게 미치는 끔찍한 피해를 담담히 그저 이야기의 배경으로 그려내었다.

 

거품경기가 꺼지고 난뒤 일본사람들은 아마도 자기가 최고라 생각하던 자존심에 깊은 상처를 입은듯 하다. 미야베 미유키의 <화차>나 <이유>등의 작품을 비롯한 많은 작품이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끊임없이 경고를 하고 있다. 자신들이 이미 겪어본 그 고통을 두고두고 기억하려는 그들만의 쉴사이없는 되내임처럼...

내 생각엔 그들의 그 되내임이 헛되지 않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