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의 그림자 2
매튜 펄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애드거 앨런 포. 그의 이름을 모르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미국에는 그의 이름을 딴 권위있는 문예상이 있고 그의 작품은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꾸준히 읽히고 있다.
그런 그의 유명세에 톡톡히 영향을 끼친것은 바로 그의 단편 <검은 고양이>이다.
짧은 단편소설 한편으로 그는 사후에도 많은 사람들을 검은 매력속으로 끌어들인다.

 

하지만 이렇게 작품과 이름만으로도 세계적으로 그리고 세기적으로 유명한 작가 포이지만 사실 그의 사생활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거의 없는듯 하다.
사실 나도 이번에 <포의 그림자>를 읽으면서 쓸쓸했던 그의 마지막을 알고 놀랐다.
젊은 나이에 그동안 써온 작품들과 그의 작품세계를 알아준 사람들이 무색하게 그는 정말 쓸쓸하게 세상을 떴다.
그리고 남겨진 것은 그의 죽음에 관한 많은 이야기들 뿐.

 

사실 포가 <검은 고양이>로 많이 유명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유명한 작품이 바로 <모르그가의 살인사건>이라는 작품이다.
<모르그가의 살인사건>의 편집자인 매튜 펄이 미스테리하고 밝혀지지 않은 포의 죽음에 관심을 가진것은 일견 당연해 보인다.

 

<포의 그림자>는 미스테리한 포의 죽음을 둘러싼 이야기이다.
과연 왜 포는 죽기직전 실종되었다 갑자기 세상에 죽은 모습으로 나타난 것일까?
그는 왜 짜여진 일정과는 다른 곳에서 발견된 것일까?

 

매튜 펄은 오랜시간 많은 사람들을 궁금하게 했던 이런 포의 죽음을 둘러싼 의문을 변리사 클라크를 등장시켜 파헤쳐나간다.
포의 죽음을 밝혀내려는 클라크를 위협하는 의문의 협박범과
포가 창조해낸 위대한 명탐정 뒤팽의 실존인물이라는 오귀스트 뒤퐁트.
포에 집착하는 클라크를 냉정어린 시선으로 바라보는 주변 사람들.
포의 죽음을 밝히려고 애를 쓰면 애를 쓸수록 클라크는 점점 궁지로 몰리지만 클라크는 포기하지 않는다.
오직.. 미궁에 빠져버린, 꿈을 이루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포에 대한 그의 약속과 신의를 지키기 위해서.

 

이 이야기는 팩션이면서도 팩션이라는 자기 정체성의 한도를 넘지않는 결말로 이야기를 끝맺는다.
매튜 펄은 <다빈치 코드>의 댄 브라운 과는 달리 자신의 이야기를 강력하게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의견이 또 하나 있소'라는 식으로 논란이 많은 소재에 자신의 의견을 넌지시 얹어두는 다소 얌전한 결말로 이야기를 매듭짓는다.


매튜 펄이 이 작품을 통해 포의 죽음에 대한 여러가지 의견이 나와 우리가 좀더 포의 죽음과 그 실체에 가깝게 다가가길 원한것은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