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개
양쯔쥔 지음, 이성희 옮김 / 황금여우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중국의 사자개를 찾아가는 tv를 본 적이 있었다.
사자개? 나는 그때까지만 해도 사자개가 차우차우를 일컫는 말인줄 알았다. 사실 차우차우도 한 덩치하고 털빨도 장난이 아닌 개이기 때문에 차우차우가 사자로 안보여도 사자개인가보다 했었다.
하지만 사실 사자개는 차우차우가 아니라 티베탄 마티프스, 중국말로는 장아오(짱아오~에 더 가까운) 부르는 견종이었다. 현존하는 모든 개들의 조상격?이라는 이 개...
현 티베트가 중국의 지배를 받는 상황에서 티베트 개가 중국 개가 되버린 이 상황에서...
중국인이 그것도 한족이 티베트의 개에 관한 소설을 썼다니... 의왼걸 싶기도 하고.. 어디감히.. 싶기도 하고... 약간 복잡다단한 마음으로 책을 펴들었다.
 
사실 내가 tv를 통해 본 사자개도 작가 양쯔쥔이 글을 쓰게한 계기가 된 그의 아버지의 소신과 철학에 따르면 진짜 사자개는 아니었다. 초원에서 나서 초원에서 자라지도 않았고, 중국의 한 사육시설에서 집단사육당하고... 가끔 좋은 날에는 빨간 깃털로 목도리를 만들어 목에 장식을 하기도 한단다. 아마도 양쯔쥔의 아버지가 이 사실을 알았다면 슬퍼하지 않았을까?
 
그래도 중국사람들이 그 사자개에 엄청난 돈을 쓰면서도 그 개를 자신의 소유로 하고 싶은 것에는 아마도 많이 덜해지긴 했겠지만.. 철장에 갖혀서 아스팔트를 밟으며 자랐을 그 개가 가진 죽지 않은 야성과 용맹함 때문일 것이다.
흐음...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알게된 사자개의 용맹함- 눈표범이나 늑대 앞에서도 기죽지 않고 싸워 이겨내는- 은 묘하게 한국개를 떠올리게 했다. 용맹하면서도 절개가 있는 진돗개와 귀신도 잡는다는 삽살개(요 삽살이를 사자개라고도 하나보더라.. 네이버가..^^;), 그리고 호랑이와 싸워도 지지 않는 다는 풍산개... 아마도 각 민족의 민족견이라고 부르는 개들은 어느정도 용맹성이 다들 비슷비슷한 것 같다.
 
그런데.. 이 개를 그토록 사랑한 한족남성의 아들이 써낸 사자개의 이야기를 보면서 조금 맘이 불편했다. 이야기를 이야기로 봐야하긴하지만.... 드넓은 초원에서 서로 편을 나누어 어린아이들마저도 서로를 죽일듯 대하는 티베트 인들의 모습은. 지금의 현 그들의 모습을 생각해 볼때 씁쓸함을 감출길이 없었다.  사람뿐 아니라 개들마저도 싸워대니.... 이거... 원... 쓰읍~!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기분이 묘했다.
비단 사람의 눈으로만 대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개들의 입장에서도 이야기가 전개되기 때문이다. 마치 줄리엣이라도 되는 양 사랑과 가족의 반목 앞에서 에라 모르겠다 몸을 던져버린 개, 그리고 권력다툼과 그들 사이의 반목, 그리고 그들을 따르는 무리.. 휴우~ 무슨 개들 이야기가 한편의 무협소설 못지 않다.
 
책을 읽을땐 사심이 많이 개입되면 잘 집중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는데.. 나에게 있어 이 사자개의 경우가 딱 그러하다. 서로 나뉜 티베트 종족사이의 반목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그려지는 한족.. 으흠... 이것을 그냥 보기엔 난 너무 많은것을 알고 있는지도...
 
(내가 뭘 알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정희재씨가 쓴 티베트의 아이들이라는 책을 읽어보길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