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일의 역사사랑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시간이 흐르면 많은것이 변한다. 다윗의 진화론처럼 사용하지않거나 불필요해진 부분들은 짧아지고 짧아지다가 이내 흐적조차 없어져 버리기도 하고, 환경에 따라서 어느 특정부분만이 엄청나게 발달해버리기도 한다. 우리는 이런것을 진화, 또는 발달이라고 한다.
 
 과연 시간이 흐르면 모든것들이 발달하고 진화할까? 애석하게도 나는 "아니다"라고 말하고싶다. 사람들이 이용하고 필요로 사용하는 사물들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지만, 사회 곳곳에서 오히려 점점 뒤로 퇴행해 버리는 것들이 종종 눈에 띈다.
 
 [이덕일의 역사사랑]은 내가 점점 퇴행해간다고 생각했던 여러점들을 속시원하게 찝어냈다. 역사나 조선시대라고하면, 먼지가 캐캐히 덮히고 군내가 나는 고리타분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옛날 고리짝에나 통용될 것이라며 무시하기도한다.
 
 하지만 역사나 이미 지나간 사실이 고리타분하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분명히 큰 오류이다. 교과서적인 말이지만, 우리는 분명 "온고지신(溫故知新)"이라는 말을 안다. 옛것을 통해 새것을 안다는 뜻이다. 한문교과서에 나오는 사자성어나 국사교과서 끄트머리즘에 나오는 나오는 역사상식정도가 아니다. 이 말은 하나의 진리다.
 
 [이덕일의 역사사랑]은 그러한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정신을 일깨운다. 대부분이 조선시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한국사의 전반을 아우르며 옛 조상들의 지혜를 알려주며 그 사실을 통해 현재 우리가 범하고 있는 오류를 수정하기를 바라고 있다.
 
 처음 [역사사랑]이라는 제목을 봤을땐 사랑=LOVE=愛 인줄 알았다. 하지만 이 사랑은 바로 사랑방의 그 사랑(舍廊)이었다. 우리에게 있어서 사랑은 안채와는 구별되는 또 다른 공간으로 외부손님들이 덕망있는 주인을 찾아 드나들이하면서 여러주제에 관해 견해를 나누던 장소였다. 장소적인 백과사전이라고 할까? 아마도 저자가 사랑(舍廊)이라는 단어를 제목으로 선택한데는 깊은 뜻이 있는듯 하다. 아마도 이 책을 읽어보면 그 깊은 뜻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