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 결혼 시키기
앤 패디먼 지음, 정영목 옮김 / 지호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인터넷으로 책을 사다가 <향수>가 리뉴얼 되서 다시 출간되었다는 것을 알고,

무려 집에 <향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제를 해 버렸다.

하지만 영화 포스터가 겉표지인 것 이외에는 속지도, 내용도 토씨하나 안틀리는 책을 두권이나 가져서 무엇에 쓸까.

그래서 새로산 책은 친구에게 선물로 주었다.

그 녀석이 그것을 아직 안 읽었음을 기쁘게 여기면서...^^

 

앤 패디먼은 남편 조지와 책장을 함께 쓰기로 결정하면서 나와 같은 문제에 봉착했다.

나의 경우에는 한권은 벌써 몇년전부터 갖고 있던 것이고, 다른 한권은 새책이었지만,

패디먼과 조지의 경우는 달랐다.

같은 책은 한권만 두고 정리해 버리기로 했는데,

그들이 소장하고 있는 책중에 겹치는 책들은 각자 오랜기간 옆에두고 나름의 시간을 함께보낸 책들이었다.

남의 추억이 내 추억보다 하찮거나 가볍다고 여길수 없기에, 두 사람은 여러가지 방법중에서 겨우 타협안을 찾아낸다.

 

<서재 결혼시키기>는 이런 에피소드에서 출발한다.

이렇듯이 누군가에게는 하찮은 듯 하지만, 애서광들에게는 중요한 문제인 서재 결혼시키기로 물꼬를 튼  패디먼은

책 한권의 처음부터 끝까지 그녀의, 그리고 그녀의 가족의 책에대한 사랑과 열정을 아낌없이 드러낸다.

외국인이 쓴 책이라서 공감할 수 없는 이야기들이 곳곳에 숨겨있다는 것이 아쉽기는 하지만

아마도 책을 좀 좋아한다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겪어보았을 만한 에피소드들이 눈을 즐겁게 한다.

 

내가 세상에 태어나서 처음 읽은 책은 무엇이었는지,

내가 왜 중학교 때 에밀졸라의 <나나>와 모상파의 <여자의 일생>을 엄마 몰래 숨어 읽었는지..

그녀와 그녀의 가족의 이야기를 보면서

나도 모르게 그들이 겪었던 일과 유사한 나의 경험을 떠올리게 되었다.

 

증조할머니가 학생때 상으로 받은 책을 아직도 소장하고 있는 그녀를 보면서,

내가 어렸을때 읽었던 책들이 생각났다.

기억으로는 떠 올릴 수 있지만, 다시 볼 수는 없는...

책장을 하나하나 제몸으로 채우고 있는 책들을 보면서 즐거운 기억들이 하나씩 떠올릴수 있다는 것은 정말 행복한 일이다.

 

p.s 양장본으로 사고 싶었는데.. 구하기가 어려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