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 성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오르한 파묵이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이름은 들어본 듯하지만 책을 읽어본 적은 없다. 원래같으면 그냥 지나쳤을 책인데, 도서관 서가를 헤매던 내눈에 그의 책이 들어왔다.
"하얀성"  밋밋한 표지에 평범한 서체로 그 평범하디 평범한 제목이 써 있는 책이 말이다. 아무레도 "노벨상 효과"라고 해야하나?
사실 노벨문학상 수상자들의 많은 책을 봤지만, 그 상이 주는 무거운 무게감 탓에 읽기를 꺼려왔다. 왠지 어둡고 어려우며 고리타분할 것만 같은 느낌! 바로 그게 노벨상이 가져오는 어두운 부분이 아닐까?
난 아직 젊고 어리기에 무겁고 어두운 것 보다는 젋고 경쾌하며 밝은 쪽을 선호한다.
하지만 그날 서가에서 내 눈에 들어오는 책들이 없었고, 수업시간에 쫓긴 나는 파묵의 "하얀"성을 선택했다.

장편소설이라고 하기엔 책 두께가 너무 얇았다.

책의 서두에선 세르반테스의"돈키호테"와 움베르토 에코의"장미의 이름"이 떠올랐다.
왜냐? "하얀성"의 서두도 앞서 언급한 두 이야기처럼  시작하기 때문이었다.
쓰레기통이라는 비유가 더 어울릴만한 문서저장고에서 찾아낸 이야기라는 서두로 이 이야기는 시작된다.


베네치아인이자 기독교인인 나는 항해를 하던도중 터키 파자의 군대('나'의 입장에선 해적과 다를바없는)에 습격을 당해 터키땅으로 끌려간다.
아직술탄이 존재하고, 지금처럼 알라를 믿는 그들의 땅에서 '나'는 살아남기위해 조금 알고있던 알량한 지식들을 이용한다.
예를들면 의술이라든가, 과학적 지식들을. 그런 재주를 이용해 '나'는 포로생활이 좀 수월해지지만  그 재주가 '나'의 발목을 붙잡는다.
그리고 '나'는 자신과 너무나도 똑같이 생긴 '호자'를 만난다.
그 둘은 마치 도플갱어처럼 닯았다. 마치 거울을 들여다 보고 있는 것 처럼.
'호자'는 과학에 미친 사람이며, 지식욕구에 불타는 사람이다. '나'는 그런 호자에게 자신이 가져온 책과 정규교육으로 배웠던 모든 것을 전수해 준다.
오직 고향으로 돌아가 가족과 사랑하는 약혼녀를 만나기 위해.
'호자'와 '나'는 성대한 불꽃놀이를 성대하게 치뤄내 파자의 총애를 받고, 마침내는 술탄마저 만나게 된다.
하지만, '과학이 곧 국력'임을 외치는 '호자'에 비해 술탄은 너무 어렸다.
아직 동물을 좋아하고, 사냥을 좋아하는 어린술탄에 관심을 끌기위해, '호자'는 과학을 점술의 도구로 이용한다.
언제쯤 전염병이 수그러 들지, 사자의 새끼가 암컷일지 수컷일지 같은 것을 알아맞춰 술탄의 관심을 끈다.
그 모든 것들이 '나'와의 대화와 '나'가 가르쳐준 지식들에서 나왔음에도 '호자'는 그런 사실을 무시한다.
'나'  또한 그런 '호자'를 시니컬한 시선으로 바라보며, 오히려 그를 괴롭히는데 머리를 쓴다.

너무나 같은 두 사람이지만 둘은 너무나 달랐다. 그래서 서로를 사랑하기 보다는 헐뜯고 상처를 주기에 바쁘다.
아마도 '나와 너무 똑같은' 존재에 대한 거부감 일 것이다.
쌍둥이도 아니고, 피가 섞인 것도 아니다.
기독교와 이슬람교. 서로 절대 가까워 질 수 없는 그들의 종교처럼 두 사람은 같지만 다르다.
그래서 서로 상대방을 괴롭히면서 괴로워하는 상대방을 보며 묘한 쾌감을 느낀다.
상대를 조롱하고 무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럴때마다 두 사람은 다시 마주앉아 서로의 과거를 젂고, 이야기를 나눈다. 그리고 또 다툰다.


이야기의 말미에 가면 글을 서술하는 사람인 '나'가 '나'인지 아니면 '호자'인지 알 수 없게 되어버린다.
지금껏 이야기 했던 사람의 정체 자체가 모호해 지는 것이다.
이 것은 인간의 성장에 비유할 수 있다.
'호자''와 '나'가 더이상 '호자'도 아니고 '나'도 아닌 존재가 되어버린 것.
하지만 여전히 '호자'이고 또 '나' 인것.

이야기는 마치 한 인간이 성숙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듯 하다.
'나'는 관조적이며 조언자적인 성격을 띈다.
또한 '호자'는 아직 어리고 성급하며 또 그런 반면에 관심거리엔 주의력이 깊다.
그런 두 사람이 같이 지낸 그 긴 시간은 마치 인간의 청소년기를 보는 듯하다.
마침내 사춘기가 끝나면 인간이 새롭게 다시 태어나는 것처럼, 이야기 끝에선 두사람의 감정싸움도 없고, 두 사람의 존재는 일체되어진 듯 보인다.
마치 내 안의 날뛰던 질풍노도의 감정들이 가라앉은 것 처럼 말이다.

내가 처음 읽은 오르한 파묵의 '하얀성'
얇은 두께보다, 생각할 거리가 많아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