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녀문의 비밀 - 하 - 백탑파白塔派 그 두 번째 이야기, 개정판 백탑파 시리즈 3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김탁환의 "백탑파 시리즈"중 2부에 해당하는 "열녀문의 비밀".
사실 1편 "방각본 살인사건"을 읽은지 너무 오래되서 처음에는스토리를 파악하는데 꽤나 힘들었다.
대강의 줄거리는 생각나는데, 중요 인물들이 잘 생각안나는 요상한 시츄에이숀이랄까?
아무튼 한 너덧 페이지를 읽고 나서야 겨우 1편의 내용이 선명해 지면서 주요인물들의 캐릭터도 대강 잡히기 시작했다.
 
이 책은 제목 그대로 열녀문에 얽힌 이야기이다. 좀더 자세히 말하자면 열녀문을 세워줄 열녀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소설은 조선 의 정조치하를 배경을 삼고 있다.  평탄한 조선시대라고 생각한다면, 생각하는 것 만큼 배경이 그리 간단하지 만은 않다. 등장하는 인물들은 오늘날로 말하면 국가 공무원인데다가, 왕실종친인 주인공을 빼고 나면 모두가 서자출신으로 적서차별의 대상자였다. 왕실종친과 서자출신 학자들. 그리고  이용후생을 주장하던 실학자들.그다지 적절해 보이지 않는 부적절한 관계의 인물들과 패망한 명과 그리고 청나라에 대한 반발심. 그리고 청나라를 통해 끊임없이 들어오고 있는 서양문물과 예수교. 이런 복잡다단한 배경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이 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이야기의 도구는 바로 열녀문이다. 열녀문은 국가가 열녀에 그 숭고한 정신과 희생정신등을 기려 하사하는 것인데, 이 열녀문이란게 참 대단한 것이다. 이 열녀문이 내려지는 것은 한 가정과 집안의 경사일 뿐 아니라, 그 지역의 경사였다. 때문에 해마다 자기지역 열녀 아무게에게 열녀문을 세워달라는 상소는 빗발쳤고, 그 많은 상소들 중에서는 허위를 기재한 상소문이  허다했다. 때문에 정조는 열녀문의 타당성을 따지기 위해 감찰을 명한다.
 
그래서 선택된 가문이 바로 병조판서가 될 것으로 촉망받는 사람의 8촌쯤 되는 집안이다. 상소문만 보자면 죽은 열녀 김아영은 남편이 죽고 나서도 시부모를 정성껏 봉양하고, 기울어진 가문을 다시 일으켰으며, 끝내 죽은 남편을 잊지못해 목숨을 끊은 열녀중의 열녀다. 하지만 너무도 유려하게 써내려간 상소문에서 허점을 발견한 이명방과 김진은 여인의 죽음뒤에 숨어있는 비밀을 밝혀내려고 애쓴다.
 
그리고 하나씩 밝혀지는 진실들. 김아영은 절대 자신의 목숨을 자신의 손으로 끊을 사람이 아니었다. 야수교(예수교)를 믿고, 가솔들에게 인정을 베풀었고, 여염집 아낙으로서는 드물게 사회생활을 하여 집안을 일으켰다. 왜 그녀는 죽어야만 했을까? 과연 그녀의 손으로 자신의 목숨을 끊은 것인가?
 
화광(花狂) 김진과  의금부도사 이명방은 목숨의 위협까지 받아가며 진실을 쫓는다. 그리고 드디어 추악한 사실이 드러난다. 곡기를 끊기며 억지로 열녀가 되기를 강요당했던 아영은 살해당한것이었다.
 
일의 진상이 만천하에 밝혀지고, 일은 마무리가 된다. 하지만 왠지 석연치 않은 기분이 든다. 그리고 청나라에 가서 우리는 놀랄만한 또다른 사실과 맞딱뜨리게 된다. 어지럽지만 허를 찌르는 반전....
 
누가 우리나라 소설이 재미없다고 했던가..
그 어떤 소설보다도 스토리가 탄탄하고 재미있다.
한국치 추리소설의 백미를 맛보고 싶은사람에게 권한다...
반전에서... 난 한편으로 놀랐으면서도 한편으로 수긍이 가는 반전이기에 고개가 끄덕여졌다.
앞으로 나올 "백탑파 이야기" 3번째 이야기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