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상과 매혹의 고고학 - C.W.쎄람의 사진으로 보는 고고학 역사 이야기
C. W. 세람 지음, 강미경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2월
평점 :
품절


고고학... 이름만 들어도 모래먼지가 폴폴 날리는 이집트의 모래사막과 우뚝 솟은 피라미드가 연상된다. 내가 고고학이라는 학문에 대해서 알게된 것은 내가 어린시절 유행했던 "괴담"책을 통해서였다. 일명 '무서운 이야기'로 불리던 책들에 꼭 빠지지 않고 수록되어있던 이야기가 바로 <투탕카멘의 복수>라는 이야기였다. 수 천년간 깊은 잠에 빠져있던 투탕카멘의 잠을 방해하고 예의없이 그의 무덤을 파헤친 이들의 잇달은 의문의 죽음. 이렇듯 괴담의 일부로만 각인되었던 고고학의 이미지를 좀더 밝고 활기차게 만들어 준것이 바로 스티븐 스필버그의 "인디아나 존스"시리즈이다. 옛 유적을 찾아 온갖 모험을 하는 멋있는 아저씨의 모습. 아마도 나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이 '인디아나 존스'를 통해 고고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을 것이다.

 

사실 고고학이라는 학문은 그다지 세간의 주목을 받지 못하는 학문인듯 하다. 어느 분야에서나 그러하지만 특히 고고학은 발굴된 유물에 많은 관심이 꽂히지, 그 유물을 발구해내기까지 얼마나 많은 일들이 있었는지에는 관심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C.W. 쎄람의 [몽상과 매혹의 고고학]은 그동안 이처럼 우리의 관심밖에 있었던 '과정'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 책이다. '결과'를 다룬 책들은 많았지만 '과정'을 다룬 책은 거의 없지 않았나? 때문에 [몽상과 매혹의 고고학]은 "인디아나 존스"를 보면서 즐거워했던 사람들에게 "인디아나 존스"와는 다른 의미의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책이다.

 

그리스,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남미.

이 네 곳은 고고학의 역사가 새로 쓰여진 역사 발굴의 장소이다. 저주받은 땅 폼페이의 발굴과 피라미드의 신비, 바벨탑과 설형문자의 비밀, 그리고 황금의 땅 마야. 수천년 전에 사람들이 만들어낸 역사의 산물은 현재를 사는 사람에게 있어 신비함과 탐구의 대상이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이 역사의 산물들의 실체를 밝히고 좀더 다가가기 위해서 기꺼히 목숨을 걸고 신비의 땅으로 갔다.

[몽상과 매혹의 고고학]에는 이렇게 목숨을 걸고, 때로는 흥미를 가지고, 그리고 가끔은 다른 이유로 신비의 땅을 찾은 사람들이 고고학자가 되고 새로운 이론과 발견을 세상에 내어놓는 과정을 독자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비단 '그들이 역사의 신비를 벗겨내는데 얼마나 열심이었나'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 '발견'의 뒤에 숨어있는 '강대국의 약탈' 모습도 함께 보여준다. 사실 이집트보다 더 많은 미이라와 부장품을 소장하고 있는 곳이 바로 대영 박물관과 루브르 박물관이라는 사실을 돌이켜볼때, 고고학이라는 학문이 일종의 침략의 역사와 그 행보를 같이 하고 있다는 사실은 전혀 놀라울 것이 없다. 더더구나 그리스,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남미에서 미라를 발견하고 설형문자를 해독한 사람들은 현지학자들이 아닌 영국, 미국, 프랑스등의 학자들이었다. 때문에 강대국의 시선에서 약소국(혹은 지배국)의 문화를 폄하하는 쪽으로 연구를 한 학자들도 당연히 눈에 띈다. 오만과 편견에서 온 그들의 무지한 행위는 많은 유물은 한낱 쓰레기, 먼지 덩어리로 만들어버리는 오류를 범하게 했다.

 

[몽상과 매혹의 고고학]은 고고학의 '과정'을 다룸으로써 '결과'만을 보고 찬탄을 뱉어내기에 급급한 우리에거 한걸음 물러나 역사를 냉정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었다. 많은 오류를 범하고 박물관 유리벽에 감금된 유물을 바라보는 것은 이제 그만되었으면한다. 앞으로는 보다 '옳바른' 과정을 통한 '옳바른'결과로 역사와 고고학이 일반인들에게 다다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