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히말라야 도서관 - 세계 오지에 3천 개의 도서관, 백만 권의 희망을 전한 한 사나이 이야기
존 우드 지음, 이명혜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드씨 책을 가지고 다시 와주세요"
잘나가는 마이크로소프트社의 쉴새없이 바쁜, 유능한 마케팅 이사. 존우드.
그의 인생은 네팔의 한 마을에서 만난 교장선생님의 말 한마디로 180도 바뀌어 버린다.
어린시절부터 책 읽기를 좋아하던 존 우드에게 있어서
책이 한권도 없는 도서관, 책을 자물쇠로 채워 따로 보관하는 네팔의 모습은 낯설기 그지없다.
그나마도 있는 책이라고는 아이들이 읽기 부적절한, 또는 읽을 수 없는 그런 책들 뿐이다.
회사원에서 자선기업가로
네팔에서 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존 우드는 네팔에서 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 주위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그가 주변의 사람에게 띄운 한 통의 이메일.. 그 이메일은 그가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까지 전달되어서 엄청난 결과로 돌아온다.
얼굴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보내준 여러 권의 책들과 돈. 존 우드는 그 책을 네팔의 학교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을 생각하게 되고, 그 와중에 그는 네팔과 같은 후진국 사람들이 가진 교육열에 다시 한번 놀라게 된다.
그리고 존 우드는 잘나가는 회사를 때려치고 본격적으로 네팔에 책을 보내기위한 자선단체를 세운다. 그리고 이어지는 선의의 만남과 그 만남이 이루어낸 엄청난 결과. 존우드와 ROOM TO READ는 스타벅스가 500개의 매장을 여는 동안에 그보다 6배나 많은 도서관을 지었다.
이런 엄청난 결과를 이루는 동안, 존 우드는 많은 것을 포기했다. 하지만 그는 오직 잃어버리기만 했을까? 안정된 직장, 사랑하는 여자친구, 엄청난 스톡옵션 금액으로 환산했을때 그가 잃은 것은 어마어마하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그는 그것들을 잃어버리는 대신에 멀어졌던 가족과 그리고 친구들을 다시 얻었다. 그리고 자신을 통해 삶을 변화시킨 많은 사람들을 얻었다.
자선단체가 아닌 자선기업체로
마이크로소프트라는 공룡기업의 촉망받는 마케팅 이사였던 존 우드는 자신의 그 노하우를 ROOM TO READ를 경여하는데에 도입한다. 그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운 모든 것들을 이용하면서, 그는 ROOM TO READ를 그냥 자선단체가 아닌 자선 기업체로 변화시킨다.
내가 기부한 돈이 어떻게 사용되어 어떤결과를 불러왔는지 그 과정을 투명하게 보여줌으로서 기부가들에게 신뢰성과 책임감을 부여하고, 좀더 많은 자선사업을 하기 위해 각 지부간의 경쟁심을 조장하기도 한다.
그 과정안에서 ROOM TO READ 의 자원봉사자들은 그냥 해도그만, 하지 않아도 그만인 자원봉사자가 아니라, 꼭 필요한 인재라는 생각을 하게되고 또 더 좋은 결실을 만들어내기 위해 열정적인 활동을 하게 된다.
자선사업은 과학이다.
한 사람의 조그만 시도가 세계를 얼마나 바꾸었는지, 그저 이야기를 쭈욱 읽어나가는 것 뿐인데도 입이 떠억 벌어졌다. 나비효과라고 있지않은가. 왜 중국 베이징에서 나비의 날개짓 한번이 미국에서는 토네이도를 일으킨다는 그 과학원리가 자선에도 적용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존우드가 네팔의 한 학교에서 한 약속은 ROOM TO READ를 만들었고, 엄청나게 많은 아이들의 학업의 길을 열어주었다.
존 우드는 [히말라야 도서관]을 통해 자선의 길이 얼마나 쉬운일인지 알려준다. 자선파티에 참석하여 그 자선단체의 활동을 경청하여 주는 것으로도, 그저 읽지 않는 책 한 권을 보내주는 것으로도 자선은 시작될 수 있다. 무슨 기업체의 CEO처럼 엄청난 돈을 기부하는 것 만이 자선은 아니다. 존 우드가 ROOM TO READ를 통해 이루어낸 이야기를 읽으면서 "자선"이라는 행위에 대해 좀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