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마드 - 문명을 가로지른 방랑자들, 유목민이 만든 절반의 역사
앤서니 새틴 지음, 이순호 옮김 / 까치 / 2024년 6월
평점 :
요근래(아니 몇년전부터)
디지털노마드 라는 말 많이 쓰는데,
유목의 습성이 디지털에서만 쓰는 사람들이 상당수 있는가 싶다가도
한때
유행한. 미니멀리즘이나 어디어디서 한달 살기 등도
결국 유목습성을 전제하고 말하는게 아닌가 싶다
그런 특성, 유목, 노마드, 원더링
이게 현대 인간들 속에서 불연듯 표출되는 습성일 수도 있겠다 싶은데,
그런 사람들의 습성응 이해하기 위해 한때 전부였다가(사바나에서 흘러흘러 전지구로 퍼진다는 개념!) 지금도 지구상 일부에 그 전통과 습성을 보존한 채 유지되는 유목민적 특성!
야만을 치부하고, 전근대적 습성으로 보는 이주성
과연 그럴까???
유목민의 역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인류는 역사 이래 대다수가 유목민의 삶을 살았고, 현재도 유목민의 습성을 가지고 사는 사람들이 상당수 있다.
(저자는 첫머리에 자그로스 산맥에서 양치기로 살아가는 유목민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현재에 유목민의 역사와 삶을 살펴보는 것은 우리가 역사 이래 유목민들이 우리의 삶에 공헌한 바와 배울 점, 또 그들과 협력에서 배운 것이 얼마나 많은지 알 수 있다
유목민의 삶은 인간삶의 또다른 방식이고 그들을 통해 우리가 수렵채집인으로부터 도시정착 생활에 이르기까지의 이어져온 현대인 삶이 어떻게 영향 받았는지 엿볼 수 있게 한다.
세상은 작용과 반작용, 협력의 진화로 이루어진다.
유목민들이 침입과 전쟁, 정벌 등 야만적인 특성으로만 쉽게 이해되지만, 그들을 통해 교류, 교역이 이루어져서
사람, 상품, 지식, 생각, 신앙, 표현양식 등 다채로운 문화적 양상을 주고 받게 된다
책은 괴페클리 테테로 부터 시작해 차탈회위크, 메소포타미아(우르크), 니네베(길가메시), 창세기, 이집트, 고대 그리스, 페르시아, 흉노, 스키타이, 훈족(아틸라!) 등의 역사적 서술로 쭉 이어진다. (몽골 칭키스칸과 무슬림, 오스만/ 튀르키에, 벤자민 프랭클린/ 미국, 인디언 까지 이어짐)
또한 이 시대상을 엿보기 위해, 헤로도토스, 플라톤, 이븐 할둔 , 사마천 등의 서술을 통해 유목의 역사를 덧붙힌다.
유목민들도 결국에는 정착을 하게 되 도시를 만들게 된 점
그리고 현대인들이 인터넷이나 소셜미디어를 통해 미국이나 유럽의 패션과 노래를 따라 한다는 점이 과거에도 유목민들 통해 비슷하게 전해졌다는 점
결국 인류의 진화는 노마드와 비노마드의 혼합속에 협력과 영향 아래 인류가 발전해왔다는 걸 말하는 게 아닐까 싶다!
처음 200페이지는 고대 니네베네 길가메시, 훈족 이야기ㅜ등이 익숙하지 않아서 조금 어렵게 느껴지지만
뒷부분으로 갈 수로 더 익숙한 이야기들이 많아 흥미진진해진다!
유목민 자체가 그들 자신의 이야기(역사)를 남기자 않아 인류사의 그늘진 부분으로 보일 수 있지만 그들은 교역세계의 달인으로 한때 그들은 유라시아 대륙 거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영향력이 컷다는 사실!
방랑하는 우리의 다른쪽을 재평가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그들이 우라에게 공헌한 바를 밝히는 작업은 우리 정착민들이 이동하며 사는 사람들에게서 배운 것이 무엇인지를 가르쳐주며, 우리가 협력에서 얻은 것이 얼마나 많은 지도 보여준다 p.23
많이들 예상하듯이 정착민이 왜 유목민을 두려워하고 무서워했었는지
왜 유목민이 정착민보다 강할 수 밖에 없었는지
(이븐 할둔의 말을 빌면 정착민에게는 나태함과 안락함에 익숙해지고, 행복과 사치에 매몰되었다는 점 p.196)
인류 역사의 새로운 모습을 살펴보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
그나저나 맨날 이집트 무덤만 도굴되고, 발견에 관심을 가졌었는데..
훈족 아틸라 무덤을 찾고 있다거나, 번성했던 유목민 무덤들이 유라시아 대륙 곳곳에서 발견되고 탐색되고 거기서 부터 다양한 생활상을 확인하고 있었다. 그런 사료들이 책 곳곳에 나온다!
#노마드#앤서니새튼#역사#역사책#역사책추천#유목민#세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