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칙하고 통쾌한 교사 비판서
로테 퀸 지음, 조경수 옮김 / 황금부엉이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네 아이를 둔 저자가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면서 느꼈던 것들이 얼마나 참기 어려웠으면 이렇게 책으로까지 낼수 있었을까. 그 마음이 내게도 전해져 왔는데 그건 바로 같이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겪었던 학교에 대한 생각이 너무도 잘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었다. 대놓고 말할수 없는 이런 생각들을 나만 한게 아니었구나. 벽안의 학부모도 똑같이 고민하고 문제점을 개선해야 될 필요성을 느꼈구나 싶었다.

이 책만 읽고나서 무조건 잘못된 교사만 교체하면 다 만사오케이다 라고 말할순 없을 것이다. 그렇기엔 이 교육풍토가 아주 곪을대로 곪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왜 대다수의 교사들이 학생들을 올바로 인도하지 못할까, 제대로 대하지 못하는걸까를 생각하기에 앞서 왜 이들이 이렇게 될수밖에 없었나를 생각해야 한다.

적어도 반 이상은 아이들을 가르침으로 인해 보람을 얻길원하는 분들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왜 교사가 되고나서 몇년이 흐르면 기존의 교사와 같아지는 것일까. 아이들이 너무나 극성스럽고 말을 안듣기 때문에?그것도 아니면 교사를 쥐락펴락 하는 치맛바람의 학부모 때문에? 아니면 과도한 업무로 의욕을 상실해서 일까? 그 원인을 얼른 찾아서 제대로 된 변화를 이루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사명을 가지고 교사를 하기에는 분명 한계점이 있다. 아이들에게 애정을 가지고 가르침에 대한 보람이 없다면 교사라는 직업은 그리 매력적이지 않다. 특히 요즘같은 시대에는 교사에 대한 존경심도 별로 없으니 할맛이 나지 않을것이다. 하지만 안정적인 직장이다보니 취업난이 심각한 요즘엔 교사가 되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여기에서 문제는 교사를 하나의 안정적인 직장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는 것이다. 아이를 사랑하고 가르치려는 의지보다는 그저 편한 직장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아이를 가르치려는 의지도 적어진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에 반대하는 교사들도 있을수 있겠지만 말이다. 의지가 없으니 애정도 없고 애정도 없으니 아이들에게 상처주는 말도 아무렇지도 않게 하고 제대로 돌봐주지도 않는 것이다.

내가 학교를 다닐때도 정말 무기력한 선생님이 꽤 많았었다. 수업이라고는 대충 칠판에 끄적끄적 적고는 나머지 시간동안은 거의 자습이었다. 한 수학 선생님은 매번 문제를 풀때마다 틀렸는데 그것을 부끄러워 하지도 않았다. 이러니 무슨 존경심이 생기겠는가. 또 한 선생님은 학부모들에게 뇌물을 받다가 너무나 화가난 한 선배가 졸업식이 끝나자마자 교무실로 찾아가 그 선생님 멱살을 잡고 소동을 벌인적도 있었다. 물론 그 선생님은 아무런 처벌도 받지않고 여전히 선생님 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형편없고 자질이 부족한 교사가 너무나도 많은 이 시대. 차라리 공부라도 잘 가르치는 학원 선생님에게 존경심이 드는건 어쩔수 없는 일이다. 물론 정말 성심성의껏 학생들을 가르치고 챙겨주시는 선생님들이 있다. 하지만 그 몇몇의 좋은 선생님들을 기억하기엔 내게 나쁜 영향을 끼친 선생님들이 더 많았다. 선생님을 보면서 커서 저런 사람이 되야지 라기보단 저렇게 살진 말아야지 라는 선생님들이 분명히 존재하고 있다는 말이다.

이 책을 읽고 뜨끔한 교사들도 있을것이고 분노한 교사들도 있을것이다. 하지만 학부모 입장에서의 나는 내 속을 뒤집어 놓은것 같은 솔직한 이야기에 많은 공감을 하면서 읽었다. 교사와 학교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으려면 아주 부단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런 비판책이 계속 나오지 않기 위해선 말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암리타 2006-11-02 0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책보다 존경받는 선생님을 소개한 책들이 많아졌으면 하는 생각만 가득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