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8살, 카카오밭에서 일해요 - 아동노동자라 불리는 2억 1800만 명의 아이들
미즈요리 도모코 외 지음, 이영미 옮김 / 서해문집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가난하다는 이유만으로 사회로부터 보호받지 못하고 일터로 내몰리는 아이들이 전세계적으로 많이 있는 실정이다. 부모의 경제활동만으로는 생활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찍부터 노동자가 되는 아이들의 사연은 많은 이들을 경악하게 했고 사태 해결을 위한 관심과 노력을 모이게 했다. 가족의 빈곤 뿐 아니라 사회, 국가적으로 제대로 된 기반 시설이 되지 않은 경우에도 아이들은 노동착취를 당하기 때문에 여러 방면에서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 저자는 아동노동의 실태 뿐 아니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과 방안, 그리고 소비자이자 세계인으로서 해야 할 일을 알려준다. 단순히 아동노동의 충격적인 모습과 도움기구를 설명하는 책이 아니라 이를 근절하기 위한 국제법과 행사, 의식의 변화를 촉구하는 다양한 활동들을 소개해 감정적인 호소에만 머무르지 않고 있다.

 

아직도 뿌리 뽑히지 않고 있는 아동노동을 해결하기 위해선 가장 중요한게 교육인 것 같다.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아이가 일을 하는게 당연하다고 여기는 의식을 바꾸고, 아이에게 교육과 놀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끊임없이 가르쳐야 한다. 여자 아이는 가르칠 필요가 없고, 일찍 일을 해 사회 생활을 하는 게 아이의 미래에 더 좋다는 인식이 있는 한 파악되지 않는 음지의 아동노동은 근절되지 않을 테니 말이다. 교육이 뒷받침 되지 않는 한 부모의 가난은 아이에게 그대로 세습될 확률이 높고, 아이를 더 위험에 처하게 만든다. 우리 아이들이 농약을 그대로 뒤집어쓴채 일하고, 눈이 침침해질 정도로 축구공의 바느질을 하고, 관습이라는 명분으로 노예와 다름없는 가사도우미를 한다고 생각해 보라. 아이는 일하면 안 된다는 것을 몰라 어떠한 의문도 품지 않았다는 열 살 소녀 마루에게 어른으로서 어떤 말을 할수 있을까.

 

아동노동의 문제가 심각한 건 아이의 인권이 많이 훼손되기 때문이다. 본인이 원하지 않았는데도 부모나 이웃 사람들에 의해 팔려가고 일을 강요당한다. 어린 여자아이가 매춘부로 돈을 버는 모습은 처참하기까지 하다. 어린 나이에 깊은 상처를 받은 아이들을 얼른 구출해 내 가정과 학교로 돌려보내는 일이 시급하다. 그런데 학교에만 보낸다고 모든게 다 해결되는 게 아니다. 아동노동의 가장 절대적인 이유인 빈곤이 해결되지 않는 한 또 다시 벌어질수 있다. 꼭 빈곤이 아니더라도 두 세시간 걸리는 학교를 가는게 힘들거나, 인신매매의 위험 때문에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물을 긷는 일이 힘들고 오래 걸려 학교를 못 가는 경우처럼 사회기반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아서 아이의 기본적인 권리가 훼손되는 경우는 안타깝기까지 하다.

 

이런 비극을 단지 개발도상국만의 일이라고 치부하면 안 된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아동노동들이 만들어낸 물품을 소비하기 때문이다. 가난은 나랏님도 구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난한 아이가 일을 하는 건 어쩔수 없는 일이라고 치부하지 말아야 한다. 세계인들이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법률을 제정하고 대책을 세운다면 아동노동이 현저히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교육을 받지 못한 채 일찍 일을 하게 된 아이는 결국 부모처럼 가난하게 되고, 배우지 못함으로 인한 사회적 차별을 받게 된다. 그로 인해 사회가 불안정 해지고 문제가 생기는 걸 수수방관만 하고 있을 순 없다. 공정무역 상품을 산다거나 도움을 줄 수 있는 활동을 하는 등의 아주 작은 일 만으로도 아동노동 해결에 희망이 보이기 때문에 더욱 큰 관심이 필요한 시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