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갇힌 사람들 - 불안과 강박을 치유하는 몸의 심리학
수지 오바크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다이어트를 하고 운동을 하고 외모를 꾸미고 가꾸는 것이 개인의 선택에 의한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회가 만든 몸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에 우리가 휘둘리고 있고, 우리 몸을 고치고 바꿔야 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건 아닌지 조심스레 생각해 볼 문제이다. 아름다움을 원하는 인간의 욕구는 오래전부터 있어왔지만 문화와 인종에 따라 그 이미지가 달랐었다. 풍만한 몸이 아름다움의 기준이 된다거나, 목을 늘리는게 미인이라고 생각하는 것 처럼 말이다.

 

하지만 급속한 세계화와 통일된 이미지는 사람들에게 하나의 이미지만을 '아름다움'이라고 인식시켰다. 예전엔 흉하고 불쌍하게만 여겨졌던 비쩍 마른 몸이 이제는 아름답다고 찬양하는 몸이 되었다. 그러자 곧 뚱뚱한 사람은 게으르고 자기 관리를 못하는 패배자요, 날씬한 몸매를 지닌 사람은 자기를 잘 가꾸는 사람이라는 인식이 전세계 사람들의 머릿속에 뿌리내리게 됐다. 대한민국의 소녀도, 유럽과 아프리카의 소녀도 동경하고 닮고 싶은 몸이 한가지로 통일되어 버린 것이다.

 

지금 소파에 앉아 과자를 먹으며 편하게 누워있는 자체가 마치 내 몸에 죄를 짓는 것 처럼 느끼게 만드는 사회에서 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한다는건 정말 어렵다. 이쯤되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몸을 만들기 위해 성형수술과 각종 미용상품, 다이어트 제품을 복용하는 사람들은 과연 개인의 선택으로 한 것일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여성들로 하여금 끊임없이 몸을 바꿔야만 한다는 강박관념을 심어주고, 내 몸의 결함은 바로 잡을수 있다는 생각을 심어주는 건 개인의 생각이 아니라 사회가 심어준 이미지일지 모른다. 거기에 상업적인 이해관계가 접목된다는 사실을 애써 외면하면서 말이다. 이렇게 사회는 개인에게 많은 책임을 던져주며 자신의 몸에 투자를 하지 않는 사람은 낙오자라며 비난한다.  

 

내 선택이 아니라 외부의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선택이라고 한다면 누구나 불쾌감을 가질 것이다. 우리는 자신을 희생자가 아니라 주체로 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몸에 대한 근본적인 불안감을 파헤쳐가면서 저자의 말에 타당성이 있다는 걸 알게 된다. 다이어트 회사들이 95%라는 높은 재발률에 의지해 고도 성장하고, 화장품 광고속 모델은 점점 더 어려지며 노화는 어렸을 때부터 해야 한다고 주입시켜 매출을 올리고, 전쟁 부상자들을 위해 발전한 성형이 이제는 미용성형으로 번창하며 고속 성장을 하는 걸 보면서 우리의 몸은 더 이상 사랑받아야 할게 아니라 고치고 바꾸고 변형시켜야 할 문제투성이라 여기게 됐다. 이렇게 몸을 외적으로만 판단하는 환경 속에서 만족보다는 실망이 더 크게 느껴질 수 밖에 없고 채워지지 않는 공허함을 맛볼수밖에 없다. 그렇게 사람들은 몸에 대한 문제를 바로 자기 자신이라 여기며, 내 노력이 부족해서 이런거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연예인들의 성형 고백이 '솔직함'으로 보여지는 현실 속에서, 살빼는 과정이 개그의 소재가 되는 걸 보면서 다양한 모습을 인정하지 않고 오로지 하나의 모습으로만 쫒는 이 기현상이 앞으로 더 심해질 것 같아 걱정이 된다. 자신을 꾸미는게 나쁜게 아니라 선택의 다양성을 존중해주지 않고 외모에 따라 그 사람을 판단하는 사회 현상이 우려 된다. 거식증과 폭식증에 걸리거나 자신의 몸을 절단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을 특이한 케이스라고 보는 대신, 왜 이런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다각도로 면밀하게 조사하고 새로운 인식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몸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에 저항하고 건강한 몸을 되찾는 것이 우리의 몸을 제대로 보고 사랑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