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 들을 접시에 담다 - 약이 되는 잡초음식 농부가 세상을 바꾼다 귀농총서 25
변현단 지음, 안경자 그림 / 들녘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식이 보편화되고 서양식단이 사랑받으며 이젠 자극적인 맛을 '맛있다'고 느끼며 계속 찾게 된다. 하지만 그에 따르는 부작용과 사회적 비용은 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데, 각종 성인병과 비만 등이 그것이다. 사람들은 건강식, 웰빙이라는 것에 관심을 가지지만 때론 지나쳐 보이기도 하고 비용과 노력도 만만치 않다. 잘 살기 위해선 잘 먹어야 하지만 그 방법이 잘 모르고 있다. 워낙 바쁘다보니 인스턴트 간편식을 어쩔수없이 사용하기도 하고, 아이들 입맛에 생식,채식은 맞지 않으니 자꾸 권하기도 힘들다. 양념범벅으로 재료 본연의 맛을 느끼지 못하고, 자극적이고 강한 맛만 쫒는 현대인들의 식단을 잡초음식으로 조금씩 바꾸면 어떨까 싶다.  

'자연스런 삶을 도모하는 농운동가'로 소개한 지은이 변현단씨. 그녀가 소개하는 음식은 우리가 먹지도 관심도 두지 않는 잡초이다. 잡초는 뽑아서 버리는 필요없는 풀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녀는 종류도 많고 개성있는 잡초들을 식탁으로 불러냈다. 먹어도 괜찮은걸까 라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 정도로 잡초에 대한 개념이 미비한데, 쑥이나 민들레,왕고들빼기, 냉이 등은 식용으로도 많은 사랑을 받고있긴 하다. 하지만 내가 알고 먹는것은 그게 전부라 이 책을 읽으며 "이렇게나 많았나?"싶을 정도로 놀랐다.

그럼 잡초를 음식으로 어떻게 먹을까? 그녀는 어린 푸성귀 처럼 부드럽고 영양이 많은건 날 것으로 먹기도 하고, 쌈 또는 샐러드로도 이용한다. 생식이 부담스럽다면 살짝 데쳐 먹는 나물 조리법을 사용하고 묵나물도 만들고 죽도 쓰고 밥도 짓는다. 또 김치로도 만들수 있는데 나도 예전엔 민들레 김치를 담근적이 있었다. 얼마전 TV에서 민들레 김치가 나왔는데 딸 아이가 무척 신기해 하길래 "너 어렸을때 엄마가 할머니랑 같이 만들어 줬잖아" 라고 했더니 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자주 만들진 않았지만 그래도 몇번 해줬는데 그걸 기억 못하다니. 생각해보니 그 당시에도 아이들은 김치를 많이 좋아하진 않았었다.  

김치 이외에도 찜과 튀김으로도 맛나게 먹을수 있고, 국도 끓이고 비빔밥 재료로도 인기만점이다. 또  절여먹기도 하고 장아찌 와 샤브샤브 등으로도 멋진 재료가 된다. 잡초의 사용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데 자신의 체질과 사용목적에 따라 차를 우려내 마실수 있고, 소주를 이용해 잡초술 담그기도 한다. 천연염색과 화장품까지 만들수 있고 책에 친절하게 조리법을 소개되어있기 때문에 잡초만 구하면 될 것이다. 잡초는 제철에 가장 많이 나는것을 먹어야 좋다.  

하지만 음식을 하기에 앞서 우리는 환경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자연에서 우리는 많은 것을 얻었고 거의 대부분은 착취하면서 살았다. '자연 그대로, 수탈을 최소화'하면서 '유기생명체의 순환'에 최대한 맞추면서 살아야 하지만 더 많은 이윤을 내야하는 시장경제 논리에 밀려 그러질 못했다. 기계와 비닐, 비료 등에 의지해 농사를 지었고, 먹을거리를 위해 동물을 사육하고 식물을 재배했다. 이젠 제철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마트에 가면 1년내내 원하는 재료를 살수 있다. 완제품엔 방부제와 인공감미료가 들어가 있고 GMO원료로 만든 음식을 속수무책으로 먹고 있다. 외국의 재료들을 손쉽게 구할수 있는 등 음식에서도 세계화는 이루어졌다. 그리고 인간의 몸까지 획일화해 전에는 없던 이상한 질병들이 유입돼 강력한 바이러스등으로 인한 고통을 겪고 사람의 생명마저 수탈하게 된다.

또 내가 사는 재료들의 대부분을 기업에서 만든 제품을 사면서 기업에 종속된 삶을 살게 했다. 만약 마트가 없고 가공식품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거기다 외식까지 늘어나며 우리의 몸은 병들어가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재료를 각자 집에서 만들어 먹을수도 없는 노릇이다. 친자연적인 유기농 재배만이 유일한 대안이고, 우리는 최대한 건강한 조리법을 이용해 먹는것 밖엔 방법이 없다.

가장 좋은 조리법은 다른 곳에서 에너지원을 끌어오지 않고, 가공된 양념을 사용하지 않는 것. 단순한 양념과 단순한 조리방법으로 먹는다면 건강을 해칠 일이 없다. 조리방식의 발달은 영양소의 파괴하고 다양한 메뉴는 소화기능마저 복잡해질 것을 요구했으니 가장 단순한 조리법이 가장 건강한 식단이 된다. 칼을 사용하는 것 대신 손으로 뜯거나 영양을 완전하게 흡수하기 위해 생식하거나 살짝 찌거나 데쳐야 한다. 그래야 식재 그대로의 맛과 영양을 우리 몸에 전달할수 있다.

인디언들에게 잡초는 식용이자 약용이 되어준 고마운 식물이었지만 우리의 사회적 가치 기준으로보면 쓸데 없는 풀, 즉 돈이 되지 않는 풀이다. 작물은 사람 손으로 재배되고 잡초는 야생으로 자란다. 모든 잡초가 사람에게 이익이 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잡초는 없다'라는 인디언 사회의 가치가 적용될수 있다. 이 책에 소개된 잡초만도 50여가지고 그 맛도 제각각 다를 것이다. 쉽게 볼수있는 잡초와 그렇지 않은 것도 있고 자신에게 맞는 잡초도 다를 것이다. 그 효능도 천차만별이니 골라 먹는 재미도 있다. 그동안 먹을게 못된다고 하찮게 여겼던 잡초가 이젠 예쁘게 보일테고 군침마저 흐르게 만들것 같다. 자연이 준 최고의 재료를 이젠 고맙게 받고 맛있게 먹으며 가족의 건강까지 챙겨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