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짐승
헤르타 뮐러 지음, 박경희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며 국내에서도 인지도를 높이고 화제가 되고 있는 헤르타 뮐러 작가. 그녀의 글이 궁금해서 처음으로 고른게 바로 이《마음짐승》이다. 《숨그네》와 《저지대》가 많이 읽히고 있지만, 궁금증을 일으키는 제목 때문에 택하게 되었다. 그렇게 헤르타 뮐러와 두근거리는 첫 대면을 하게 됐는데, 이렇게 읽기 어렵고 단어 하나하나를 음미하고 뜻을 유추해야 하는줄 알았다면 선뜻 집어들지 않았을 것이다. 노벨 문학상을 받은 작가의 책이니 읽기 어렵다는건 짐작했어야 했는지도 모른다.

좀 더 작가에 대해 알고 루마니아의 독재 상황 등 배경지식을 습득 난 후에 읽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인다. 그만큼 진도가 빨리 나아가지 못할 정도로 내겐 버거웠다. 끝까지 다 읽긴 했지만 최소 두 세번은 더 읽어야 내가 놓친 부분과 뜻을, 작가가 전해주는 소리에 좀 더 근접하지 않을까 싶다. 그래야 이 책을 읽었다 라고 말할수 있을 것 같다.

'나'의 시선으로 그려낸 루마니아의 사회는 숨 막힐만큼 갑갑하고 최소한의 자유도 용납하지 않는 독재 치하의 정권이었다. 그곳에서 인권은 철저하게 짓밟히고 감시자의 날카로운 눈 때문에 누구도 믿을수 없었다. 그 곳에선 독재자와 일부 집권층, 그리고 감시자 만이 자신의 소리를 내며 살수 있었고(그들도 돈 때문에 이 생활을 했지만) 그 외의 국민들은 숨을 곳 없이 모든게 까발려진 채 살아야만 했다. 외국으로 도망치다 총탄과 개의 밥이 돼 이름없는 묘지에 묻히거나, 정권에 반기를 들지 않고 숨 죽이며 사는 두 가지 삶만이 존재하는 사회. 우리에게도 있었던 독재 정권 시절이 생각난다.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게 얼마나 중요한지츨 뼈저리게 느껴야 했던 암흑같던 그 시대.  

그 곳에 대학생인 '나'가 있었다. 롤라를 포함한 다섯 명의 여학생과 기숙사 작은방에서 살고 있는 '나'는 롤라의 죽음 이후에야 부조리한 사회와 전체주의에 의문과 반기를 드는 인물이다. 이유없이 미워하던(보통의 여학생들처럼 조용히 살지 않았기에)롤라가 자신의 허리띠로 목을 메 죽고, 그녀가 남긴 공책의 글을 읽고, 롤라의 죽음이 자살이 아니라고 의심한 세 남자(에드가, 쿠르트,게오르크)와 만나면서 '나'는 독재자 차우셰스쿠가 가장 경계하고 두려워하는 '불손한 생각과 행동'을 하게 된다.  

젊은이들이 자신을 몰아내려는 생각 자체를 하지 못하게 만들고, 국민들이 목숨을 걸고 국경을 넘는걸 막고, 자신을 비판하는 이들을 제거하기위해 곳곳에 감시자와 개를 푸는 독재자. 트렁크에 자물쇠를 채워도 그건 이름만 자물쇠 였고, 종업원이 모든 것을 고해 바친다는걸 알기 때문에 주점에서 정치적인 문제를 꺼낸 사실을 두려워 했다. 감시자의 눈에 띄지 않기 위해 빠르지도 느리지도 않게 걷는 법을 배워야 했고, 집주인이 나의 말과 행동을 유심히 지켜보고 외출했을때 내 방을 뒤진다는 것을 알면서도 침묵하고, 과외교사도 그만둬야 했다. 이 모든게 경감 프옐레의 눈에 띄었고 감시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남자친구들과 편지를 쓸 때도 누군가 미리 개봉한것을 알아차리기 위해 머리카락 한올씩 집어넣고, 심문은 손톱가위, 수색은 신발, 미행은 감기걸렸다로 쓰기로 정했다. 또 호칭 다음에는 느낌표를 쓰고, 생명에 위협을 받을 때는 쉼표 하나만 찍기로도. 개인적인 편지도 감시자의 눈을 의식하고 암호처럼 써야했지만 아직 어린 이들이 상대하기엔 경감 프옐레는 노련하고 집요했다. 손톱가위,신발,감기 라는 단어가 한꺼번에 혹은 여러번 나오는걸 보면 누구라도 알아차렸을 테지만 말이다.  

부모님의 집을 수색하고 괴롭히고 심문을 당한 것 보다 더 큰 고통은 누군가의 눈과 귀가 내게로 향해있다는 불안감 이었을 것이다. 육체적 고문을 당한다거나 눈에 띄는 차별이 없음에도 평화롭지 못한 마음과 그로인한 스트레스는 인간을 파멸시키기에 충분하다. '독재자와 그의 감시원들이 매복한 채 두려움을 분배하는 것이 느껴졌다.'라는 문장이 섬뜩해지는것도 그 때문이다. 아무도 입 밖으로 내진 않지만 사람들 사이에 떠도는 불안한 공기의 밀도는 점점 높아지고, 두려움 속에서 걷고 먹고 자는 생활을 반복했다. 그 와중에 독재자의 건강에 대한 소문이 퍼지면 사람들은 도주를 보류했다. 독재자의 시체를 상상하는 것이 유일한 기쁨이었으니까. 독재자 보다는 오래 살고 싶었으니까. 

함께 금서를 읽고 정권에 비판하는 말을 쏟아내던 '나'와 세 친구는 서로에게 상처주는 말을하며 마음의 불안을 잊으려고 한다. 서로를 너무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빛이 보이지 않는 미래와 막막한 삶 을 잊기위해 상대방에게 송곳같은 말을 찌른다. 하지만 그 후에 남는 헛헛한 기분은 어떤 것으로도 채워지지 않고 4명의 친구는 뿔뿔이 흩어진다. 에득와 게오르크는 교사로, 쿠르트는 피를 마시는 동료들과 함께 일하는 도축장으로, 그리고 나는 번역가로 일하지만 쿠르트를 제외한 모두가 해고당한다. 정권에 비판적인 그들에겐 일자리조차 주어지지 않고, 폭행과 심문을 당해도 도와주는 사람이 없다. 끝내 비극적인 죽음을 맞는 두 친구의 소식을 들으며 '나'는 아무것도 할수 없었음에 아파한다. 롤라처럼 두 친구의 죽음도 수사가 되지 않고 자살로 마감되는걸 보며 절망과 아픔을 느꼈으리라.  

희망 대신 절망을, 힘차고 즐거운 걸음 대신 극도로 긴장된 발걸음을 익혀야 했던 이 젊은이들의 삶을 누가 보상해 줄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