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단위로 크기를 구하라 수학으로 통하는 과학 10
장혜원.김민회 지음, 이지후 그림 / 자음과모음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수학도서와 초등과학도서를 한 권에 담아놓은 자음과 모음의 수통과 즉,

학으로 하는 학 도서인 10권. 잃어버린 단위로 크기를 구하라! 편을 읽었어요.

 

 

 

 

 

 

아이가 표지의 그림을 보더니 "짱구 같다!" 하면서 재미있게 표현된 그림에 흥미를 갖는 모습이었어요.

단위를 알면 길이, 무게, 질량, 들이, 부피, 밀도, 온도, 속력, 중력, 우주의 탄생까지 밝힐 수 있다는

책의 내용에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핵심 주제를 설명해줍니다.​

 

부모와 떨어져 시골에 남겨진 해듬이가 할아버지의 낡은 무전기에서 보내진 메세지 내용을 해석하며

단위에 대해 알게 되고 단위와 과학에 대해 연결지어 생각을 해보게 되고

이야기 속에서 퀴즈도 단락마다 풀며 본문안의 내용을 잘 이해하며 읽었는지에 대한

확인도 재미있게 할 수 있고 과학 실험 실급 기구나 준비물을 통해 단위에 대한 다양한

수학적 사고력과 과학적 개념의 이해를 돕는 책입니다.

 

수학에서는 눈으로 보는 것에만 의존해서는 오류에 빠질 수 있어

서로 달라보이는 수학과 과학이지만 수학와 과학이 통한다는 사실을

여러 가지 크기를 재기 위해 필요한 '단위'를 중심으로 확인해 보는 내용을 다루고 있어요.

 

 

 

 

 

 

속에 구성된 부록에서 분모가 다른 분수의 덧셈에 대해서

전통 도량형에 대해서 읽을 거리를 수록해 배경지식과 원리를 읽으며 호기심을 갖게 합니다.

 

 

 

 

 

 

분모가 같은 분수는 단위가 같아 곧바로 더할 수 있지만

분모가 다른 분수는 단위가 다르기때문에 곧바로 더할 수가 없어

같이 나타낼 수 있는 단위를 구해 분수를 나타낼 수 있는 단위를 찾아요.

늘 해오던 방법에서 그림과 설명으로 알기 쉽게 되어 있어 원리를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됩니다.

 

 

 

 

 

 

단위들이 정해지지 않았을 때 어떻게 길이를 재었는지에 대한 방법에 대해서 재미있게 읽어보고

단위에 대한 수학적 배경지식을 알 수 있는 이야기를 읽어보며

단위가 정해져있지 않았던 시대에 사용된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조선시대 수학책 산학입문에 나오는 측정 도구와 도량형 단위를 정하는 데

악기와 곡식 낟알이 사용되었다는 흥미로운 지식도 알아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