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는 애니메이터 틈만 나면 보고 싶은 융합 과학 이야기 3
서지원.조선학 지음, 주순교 그림, 구본철 감수 / 동아출판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틈만 나면 보고 싶은 융합과학이야기 동아출판 아빠은 애니메이터

 

 

 

교과서가 개정된 이후로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목표로 모든 교과서와 책의 내용의 개편이 많이 되었는데요.

 

이 융합과학이야기는 지식을 전달하는 설명문의 형식이 아닌, 과학을 융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구성이 되어 생활 속 주제를 통해 과학 원리가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해 주는데 어떻게

 

활용이 되었는지를 이해하게 하고 상상력과 창의적인 생각을 지닌 창의융합형 인재로 양성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아이들 애니메이션 정말 좋아하는데 이 책의 주인공인 아름이 아빠의 직업이 바로 애니메이터로 아빠가 만든

 

캐릭터인 아모미가 들려주는 애니메이션의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며 아름이는 아빠를 이해하게 됩니다.

 

 

 

 

 

 

 

 

 

 

 

 

 

 

 

 

아빠의 작업실에 몰래 들어간 아름이가 만난 캐릭터 아모미는 아빠가 아름이가 어릴적에

 

만들었던 캐릭터로 아빠의 어릴적 모습을 듣게 되는 이야기로 이야기가 전개가 됩니다.

 

 

 

 

 

 

 

 

 

 

 

 

 

 

 

 

활자의 본문 중간 중간 눈에 띄는 다른 서체로 편집을 해서 강조된 글자의 크기와

 

색의 구분을 달리해 그림뿐 아닌 글자를 읽으며 보는 재미도 느낄 수 있도록 되어 있어요.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게 된 계기가 조이트로프를 만든 뒤로 가능해졌고,

 

아름이 아빠도 조이트로프를 보고 물체의 움직임을 표현ㅇ하고 싶다느 꿈을 갖게 되어

 

그림이 자연스럽게 움직이려면 어떻게 할지 아름이 아빠는 어릴적에 궁금해했어요.

 

 

 

 

 

 

 

 

 

 

 

 

 

 

 

 

물체를 볼 수 있는 빛에 대한 성질과 애니메이션의 효과를 위한 착시 등

 

그림 자료 화면을 통해 직접 신기한 그림을 통해 착시 현상에 대해서 더 이해를 하게 됩니다.

 

 

 

실제와 사물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에 대해서 배우고 눈과 뇌가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는 것도 알게 됩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만들기나 실험을 통해 직접 내용을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는데

 

플랩북 만들기를 통해 애니메이션의 원리인 착시현상에 대해 직접 만들고 느낄 수 있어요.

 

 

 

 

 

 

 

 

 

 

 

 

카메라에 대해서 우리 눈과 비슷한 구조로 카메라 렌즈와 우리 눈의 수정체의 구조에 대해 비교해 볼 수 있어요.

 

 

 

 

 

 

 

 

 

 

 

 

 

 

재미있게 읽기만 하는데 그치지 않고 STEAM 쏙 교과서 쏙의 부록 자료를 통해

 

교과서 속에서 다뤄지는 4학년 2학기 과학 3단원 거울과 그림자에 대한 핵심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요.

 

 

 

 

 

 

 

 

 

 

 

 

또 하나 우리 아이가 만들어 보고 싶어한 프락시노코프 만들기가 소개되어 있어요.

 

 

 

 

 

 

 

 

 

 

 

 

 

 

애니메이터의 역사에 대해서도 배우고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서도 알게 되고

 

무엇보다 아빠의 꿈을 이루는 일에 대해 아름이는 아빠의 애니메이션을 보며

 

즐거워 할 어린이들을 생각하며 아빠를 응원했어요.

 

 

 

 

 

 

 

 

 

 

 

 

 

 

"왜, 인상을 쓰면서 봐? 하고 물으니,

 

"책을 읽으니 집중해서 그러지!" 하면서 뚫어져라 책을 보고 있어요.

 

책을 읽고 나서 평소 만들기와 실험하기를 좋아하는데 프락시노스코프 만들기를 준비했어요.

 

혼자 열심히 크기도 재어가면서 가위로 오리고 알루미늄 거울도 자르고 종이띠에 그림도 그리더니

 




 

 

 

 

 

책에서 나온 방법과 같이 되지 않기에 왜 안되는지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게 되고

 

시간이 늦어 잠자리에 들었어요. 만드는 활동을 너무 좋아해서 이 활동을 하느라

 

다른 숙제를 일찍 다 마치고 준비를 했는데 생각보다 만드는게 쉽지 않아서

 

다음 과정은 왜 책에서 나온 설명대로 어느 부분이 잘 못되었는지 다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해서 다시 만들어보기로 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