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쿠호오 이야기 - 규슈 지쿠호오 탄광을 중심으로 한 격동의 민중사, 평화교육시리즈 03
오오노 세츠코 지음, 김병진 옮김 / 커뮤니티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 시대 국권 강탈로 일본의 통치하에 살았다는 것은 대부분 다 알 것이다. 토지조사사업으로 우리나라의 영토를 40% 가량 일본인에게 억울하게 빼앗기고 인권 따윈 전혀 없는 노예 같은 삶을 살며 한(恨)의 세월을 보냈었다는 것 또한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토지조사사업 같은 비열한 방법으로 영토를 빼앗아 일본인에게 나눠주며 일본에서는 못살던 사람들은 한국에 와서 단번에 농장의 대지주가 되어 떵떵거리며 잘 살게 되었었다. 그래서 나는 우리민족이 일제강점기 시대에 노예처럼 살았던 시절 일본은 배 뜨시게 먹고 떵떵거리며 잘 살았을 줄 알았다.

 


나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이 책은 태어났으리라. 이 책은 큐슈 지쿠호오 탄광을 중심으로 한 격동의 민중사이며 조선인 탄광 노동자의 삶과 애환을 담은 책이다. 책 내용은 두 바닥 중 한 바닥은 그림, 한 바닥은 글로 된 형식인데 글 밑에는 일본어로 같은 말이 적혀있다. 그림으로만 읽으면 지루했을 것 같았으리라 생각되었다. 그림이 있었기에 글만 보았더라면 한계가 있었을 내용을 좀 더 수용할 수 있었고 더욱 생생하게 다가왔다. 글로 상상했던 것을 그림으로 참 잘 그려주었다.

 


우선 반으로 나뉘어 전반부는 일본 지쿠호오 탄광마을의 이야기가 진행된다. 이 탄광마을은 일본의 경제기반이 되어주었건만 외면 받고 월급도 쥐꼬리 같아서 겨우겨우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 게다가 위험한 곳이라 탄광을 캐다 펑 하고 가스나 폭탄이 한 번 터지면 몇 백 명이 목숨을 잃는 게 허다했던 위험한 일이었다. 책을 읽으며 이 시대 땐 우리나라도, 일본도(소수만) 참 많이 힘들었구나 생각되었다. 좀 더 많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간간이 사진자료가 첨부되었는데 막장 작업 장면이라는 사진이 있었는데 갱 안의 온도가 무척 높아서 거의 벗다시피 하면서 일한 모습이었다. 사진엔 한 중년의 여성과 아저씨가 탄광을 소쿠리에 담아 나르는 모습이었다. 그 사진을 보는데 사진을 보면서도 웃고 있는 아저씨의 모습에 코끝이 찡해졌다. 그 모습이 조선인 노동자의 모습과 겹쳐서일까...

 


중간을 넘어 일제 강점기 내용이 나왔다. 당연히 그 이야기엔 일제강점기로 인해 일본에 강제로 끌려가 노동을 했던 조선인들의 애환의 삶도 엿볼 수 있었는데 역시나 상상했던 대로 한국인은 일본에서 차별된 대우를 받으며 억울하게 살아갔다. 그것은 같은 한국인으로써 분통터지고 언제 봐도 가슴 아픈 일이었다. 그리고 일제 강점기 시대의 이야기에도 사진자료가 나왔었다. 학대받은 조선인 토목노동자들이 서있었는데 그들은 하나같이 몸에 서너 군데는 상처가 있었다. 배, 얼굴, 등 곳곳에 크고 벌건 상처가 눈에 뚜렷하게 보일 정도로 꽤나 되었다. 그 상처는 마치 나의 상처가 되는 것처럼 가슴이 쓰라렸다. 그 시대에 태어나 살아가던 사람들은 참 많이 슬플 것 같다. 새삼 내가 지금 살기 좋은 시대에 태어났다는 것에 감사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일본과 한국 두 나라의 민중사를 읽으며 잘못된 지식을 바로잡고 그 이면을 알게 되었다. 평화 교육 시리즈로 나온 책인데 시리즈 의미에 맞게 잘 나온 것 같다. 책을 읽기전의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은 부디 이 책을 읽고 바로잡길 바란다. 책을 읽은 지가 한참 됐건만 이 글을 쓰며 가슴이 자꾸만 먹먹해진다. 기분이 평탄치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