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대생은 바보가 되었는가 - 지적 망국론 + 현대 교양론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정환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2년 11월
평점 :
절판



내가 이 책의 내용과 관련해 문제를 제기하려면 일단은 저자의 전반적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한다는 점을 먼저 밝혀둬야 할 것이다.

나는 정시로 대학에 합격했지만 고등학생 시절에 대학이며 전공이라는 제도에 회의적이어서 가볍게 특기를 살려 수시에나 응시해볼까 생각했었기 때문에 꽤나 구구절절한 자기소개서를 쓴 적이 있다. 자신의 장점을 기술하라는 문항에서 나는 ‘저는 여러 분야의 학문과 예술, 그리고 사회 전반에 두루 관심을 가지고 공부해왔습니다. 실로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한 분야에 편중된 지식만을 머릿속에 쑤셔 넣고 있는 것은 더 이상 아무런 특기가 되지 못합니다.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정보를 찾아낼 수 있는, 광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www (World Wide Web)의 시대가 열렸기 때문입니다. 지금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은 가치 있고 신빙성 있는 정보들을 신속하고 정확히 찾아내어 유연히 결합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라고 썼었고 이는 이 책이 말하는 바를 함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소설은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이고 감명 깊게 본 영화는 첫 번째로는 [Rent], 그 다음이 [The History Boys]로 -후자는 성장소설의 정석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내용이 좁고 깊은 편이라면 전자는 사회와 경제, 예술과 철학을 널리 다루고 있어 영화를 완벽히 이해하려면 그 모든 것에 대한 학습이 동반되어야 할 정도이다.― 모두 성장, 교양을 다루는 빌둥스로만(교양소설, 성장소설)이다.

또 대학에 진학하면서 가장 먼저 실망한 점은 복수전공이나 부전공, 전공심화 중 한 가지 선택이 필수인데 취업을 위해 가장 좋은 선택이라고들 하는 복수전공을 -부전공은 졸업 후 기록이 남지 않는다고 한다― 선택한다고 가정하면 교양수업을 들을 여유가 거의 없다는 부분이었다. 평범하게 매 학기 18학점씩을 듣고 4학년 과정을 수료하면 졸업할 때까지 총 144학점을 이수하게 되고, 전공 두 과목의 필수 이수학점 90점을 빼면 54학점이 남는다. 이중 필수로 이수하게 되어있는 교양 35학점을 제외하면 19학점의 여유밖에 남지 않아 ‘중요한’ 전공과목을 서너 개만 재수강한다고 쳐도 복수전공을 어떤 걸로 정할지 탐색할 감질 나는 체험기회 정도 밖에는 주지 않는 것이다. 물론 필수교양 35학점 중에는 정말 교양의 고양을 위한 수업들도 있고, 핵심교양이라는 제도를 통하여 여러 분야의 기초를 적어도 한 과목씩은 듣도록 정해놨지만 여전히 학점관리와 미래를 생각한다면 내가 막연히 ‘대학에서 꼭 배워보고 싶다’고 생각했던 라틴어나 철학, 전공과 동떨어진 과학 수업 따위를 들을 시간이 없는 것이다.

‘도쿄대생은 왜 바보가 되었는가’는 일본 교육의 문제점을 다룬 책이지만 사실 나는 일본의 교육제도에 대해서는 별다른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고 내용을 보면 한국의 그것과도 비슷한 상황을 겪고 있는 것 같으니, 이러한 사태의 원인을 규명할 지금부터는 한국의 경우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하겠다.

나는 왜 대학은 소속된 이들로 하여금 지적 호기심을 유발하지 못하는 지루한 곳으로 바뀌어 버렸으며 전공공부만을 가르칠 거라면 어째서 전문대학이 아닌 대학이라는 이름을 달았는가? 이럴 거면 가장 명민하고 두뇌 회전이 빠를 시기인 20대 초반에 빨리 직업교육을 마치고 사회로 내보내는 것이 우리 사회의 발전을 위하는 길이 아닌가? 라는 문제들에 아직까지는 ‘대학교들이 배움의 장이 아닌 하나의 사업체로 변해 자기 잇속을 챙기려면 4년제의 간판과 늘어날 수입(이년어치의 등록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라는 결론을 내리고 싶지는 않다. 물론 대학 입장에서야 학생이 자기 공부를 위해 수학을 몇 년씩 연장한다면 그에게 넙죽 절이라도 하고 싶을지도 모른다. 제적을 당해도 입학금만 내면 다시 들여보내주는 곳이 우리의 대학 아니던가. 그렇지만 학생들이 가능한 한 4년 내에 졸업하기를 희망하는 것도 비단 금전적 측면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나는 물적으로는 풍요로운 편의 가정에서 태어나, 나의 부모님들은 대학을 다니지 않고 일을 하겠다는 내 결심을 돌리기 위해 부단히도 노력하셨지만 내가 돌연 ‘교수직을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교양을 쌓고 여러 가지 학과에 모두 전공자 수준의 지식을 가지고 싶어 학부에서 6~7년쯤을 공부할 계획이다’라고 선언한다면 차라리 지금 일을 하라며 등록금 원조를 끊으실 런지도 모른다. 나 또한 평범하게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을 가지기로 결정한 지금은 그런 황당무계한 일을 벌일 생각은 전혀 없다. 그것은 사회에서 젊은이를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얼마나 교양을 쌓았던 고용주의 입장에선 능력 있는 경력사원, 젊고 민첩해 보이는 신입사원을 제치고 아무런 경력이 없이 나이만 많은 사람으로 보일 뿐이다. 그래서 모두들 이를 악물고 학점관리며 스펙 쌓기에 열중하는 것일 테고 말이다. 법조계나 의료계, 예술계 등 전문 분야를 제외한 일반 사무직의 경우 자기 전공을 살려 취업을 하는 일이 드물어 어차피 회사에서 기본적 소양을 재교육시키는 현실에서, ‘취업률’이 가장 큰 광고거리가 되는 대학들은 점점 학생에게 직업전선에 내보낼 준비만 시키고 있다는 게 아쉬울 뿐이다. 기업과 대학의 어긋난 잣대 위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학점을 잘 주는 과목들보다 교양인으로 성장할 기반이 되는 과목들을 선택하라는 것은 무리한 요구로 보이기도 한다. 학교나 기업, 학생 모두의 이해관계 차이 때문에 대학은 직업학교로, 그 졸업생은 무능력한데다가 교양도 없는 성인이 되어버린 것이다. 짧은 시간 안에 신입사원을 교육시켜야하는 기업들이 효율이 높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말이다.

책에서 지적한 중고등 교육의 문제 역시 지금 한국 교육의 현실과 일맥상통한다. 한국도 본교사가 폐지되고 수학능력시험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된 이후로 수험과목과 그 내용이 많이 줄어들었다. 체육/미술/음악과 같은 과목은 수험공부에 지쳤을 학생들의 사기증진용 여흥 따위로 전락해버린 지 오래고, 문과는 언어/외국어/수1/사탐2~4과목 이과는 언어/외국어/수1,수2/과탐2~4과목을 명목상 필수로 내세우지만 상당수의 문과학생이 수학을, 이과 학생이 언어나 외국어를 포기하는 절름발이 형상을 띄고 있다. 주목해야할 점은 저자도 이렇다하게 몰아세울 구석이 없었는지 ‘학생들의 수험 부담을 덜어준다’라는 말 같지 않은 이유를 붙인데 반해 한국에는 그렇게 되기까지 확연한 목표의식이 있었다는 것이다. 적성 개발이 바로 그것이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아주 어렸을 때부터 적성에 맞는 진로 선택이며 흥미위주의 학습을 통한 창의력 개발과 같은 말을 참 많이 들어왔다. 영유아 시절부터 지속되어온 적성 개발이 오히려 직업 선택의 순간에서는 우리의 발목을 잡게 되었다니 또 하나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몰개성과 획일화로 일축되는 한국 사회와 교육제도에서 ‘적성 개발’이라는 자극적이고 생뚱한 표어가 그렇게 인기를 끈 이유는 무엇일까? 나는 그것이 우리 바로 윗세대들의 평생 직업 문화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본다. 직장은 평생 일을 할, 자신의 분야에 전문적인 노동력을 원했고, 우리의 부모님들은 적성에 맞지 않는 직종에 종사하게 되었더라도 어쩔 수 없이 그 일을 계속해나가야 했던 것이다.

‘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라는 뜻의 영어 속담이 있다. 이 속담은 두 가지의 뜻으로 해석되며 각각 이끼를 부정적인 것, 긍정적인 것으로 바라본다. 이끼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우리의 일반적 해석은 ‘한 곳에 머물러 있지 않고 여러모로 계속 정진하고 갈고 닦아야 한다.’는 의미로 ‘고인 물은 썩는다.’와 같은 맥락이며, 반대의 개념으로는 ‘한 가지에 집중해야 비로소 명예와 지위, 부 등이 따라온다.’라는 해석이 될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는 이 두 가지 해석의 부정적 측면이 동시에 나타났다. 대부분이 직장을 옮기지 않고 평생 같은 직업, 직장에 종사하는 일이 많았기 때문에 첫 번째 직장에서 진득이 일을 하게 되면 대개 별다른 노력 없이 예우차원에서 승진을 하게 되었고 그러다보니 나이가 있는 고위직의 직원일수록 능력 계발에 소홀하며 태만한 업무태도에 월급만 많이 받아가는 문제가 생겼다. 이를 생각하면 사오정(45세 정년퇴직)이며 오륙도(56세까지 일을 하면 도둑)같은 신조어가 생긴 것도 이해할 만하다.

한 가지 다행인 점은 평생직업 개념이 사그라지면서 점점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산할 수 있는 직업을 찾아다니는 똑똑한 젊은이들도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동시에 문과의 수학과정에 수2과정이 추가되는 등 사회 전반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물결은 스페셜리스트들이 적재적소에 배치될 가능성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과 제너럴리스트들의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다는 근거로 보아도 충분할 것이다.

이제 남은 과제는 ‘어디까지가 현대 일반인 수준에게 요구되는 교양인가?’를 확실히 하는 문제일 것이다. 적성 개발이 처음부터 나쁜 뜻은 아니었듯 스페셜리스트도 제너럴리스트보다 저평가될 이유는 없다고 본다. 모두들 ‘상식적이다‘라는 수준을 넘어선 후에는 각자의 갈 길을 가서 교양의 스페셜리스트나 전문직의 스페셜리스트가 되는 것이 이상적으로 보인다. 그러기 위해서 고등학교 교육은 어떤 모습으로 바뀌어야하고 대학은 어느 정도의 교양학점을 듣게 하는 것이 적절할지 토론해보자.
 

--------------------------------------------------------------------------------------- 

개인적으로 늘 생각하고 있던 점들을 짚어줘서 아주 시원했던책! 개념정리에 있어 약간 모호한 부분이 있어 아쉽다. 그리고 본문에 비해서 머리말은 좀 자극적이기만하고 논리도 너무 엉성하다. 처음엔 머리말만 읽은 다음에 과제를 하려고 했었는데 끝까지 읽기를 잘했다고 생각하는 책!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3-15 22: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3-15 22: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LAYLA 2010-03-16 04: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죠 150학점은 들어야 이제 공부좀 하겠다 감이 올텐데

월중가인 2010-03-16 20:40   좋아요 0 | URL
그쵸~ 저는 그저 전공 필수학점을 좀 낮춰줬으면~하지만 제 뜻대로 되는게 아니니 학점을 잘 따서 한학기 이수 가능 학점을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