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p. ..나는 태어났다. ..처음엔 이런 식의 문장은 완전하다고, 전부 다 갖추고 있다고 인식한다. 그러나 이 문장으로 시작할수 있는 글을 상상하기는 쉽지 않다. ..반면에 정확한 날짜를 적게 되면 우리는 그만 써도 된다. ..나는 1936년 3월 7일에 태어났다. 끝. 몇 달째 이 문장을 쓰고 있다. 34년 6개월 전부터, 지금까지도! ..대개, 사람들은 이어서 쓴다. 이 문장은 상세한 설명을, 더욱더 상세한 설명을, 온전한 이야기를 요구하는 그럴싸한 시작이다.
39p. ..그리고 그는 하얀 종이를 앞에 두고 오랫동안 떨고 있었다. ..(그리고 나는 하얀 종이를 앞에 두고 오랫동안 떨고 있었다.)
46p. ..바로 그 순간 선택의 문제가 제기됩니다. 정확하게 삶 전체에 대한 질문입니다. 제게는 거의 낯선 것들을 신뢰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바로 그때 알게 됩니다.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내 상황을 완전하게 책임져야만 하는 순간임을 알게 되지요....
85p. ..그렇다면 나는 정말 특별하게 말하고 싶은 무언가가 있었던가? 그런데 나는 무엇을 말했나? 무엇을 말하는 것이 중요한가? 내 상태를 말하는 것이? 내가 쓴다는 사실을 말하는 것이? 내가 작가임을 말하는 것이? 무엇을 알리고 싶은 욕구인가? 내가 알릴 필요가 있음을 알리고 싶은 욕구인가? 우리는 지금 무엇을 알리고 있는가? 글쓰기는 그냥 거기에 있다고 말한다. 다른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리고 우리는 다시 얼음 궁전 속에 있다. 그 안에서 말들은 서로서로 참조하고, 자기 그림자 말고 다른 것은 결코 만나지도 못하면서 끝도 없이 서로 영향을 미친다.
109p. ..누구든 『나는 기억한다』를 쓸 수 있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누구도 그 책 속에 455개의 ‘나는 기억한다‘를 쓸 수 없으며, 누구도 똑같은 기억들을 쓸 수 없겠지요. 이것은 마치 집합론 같아요. 나는 X와 추억들을 공유하지만, Y와는 공유하지 않아요. 그리고 우리의 추억들로 이루어진 거대한 집합 속에서 자신을 위해 단 하나의 형상화를 선택할 수 있고요. 이것이 기억들 사이의 간격을 채우는 묘사이며, 어떤 점에서 보면 그 세대 전체가 그 묘사에서 자신을 알아볼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