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에 문화꽃이 피었습니다 - 관계를 잇는 나무 인문학
이흥재 지음, 강석태 그림 / 아시안허브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나무를 좋아한다. 많이 좋아한다.

생각해 보니 나무를 싫어하는 사람이 있을까? 싶다.

저마다 다른 모습, 다른 색깔의 나무를 사랑할 것이다.

나에게 나무는 쉼과 생각과 여유를 허락해 준다. 

나무는 사람을 닮았다.

木, 林, 森 이렇게 나무들이 어우러지듯 우리네 세상도 어우러져 아름다운 문화꽃을 피우길 바란다.


나무와 관련된 이야기를 담아낸 <나무에 문화꽃이 피었습니다> 를 읽으면서 나무 뿐 아니라 나무와 관련된 시공간의 이야기를 들음으로 나무의 깊이와 넓이가 커진다. 그리고 나무가 사람처럼 다가온다.

 

나무를 사랑한 역사적인 사람들이 이 책 곳곳에서 베어져 나온 부분에서는 그 시절로, 그 공간으로 가고 싶은 마음이 충만해 진다. 아는 인물이지만 몰랐던 이야기는 색다른 탐구심을 가지게 한다.

이순신이 좋아한 매화, 세종이 좋아한 앵두, 

특별히 추사 김정희와 그의 작품 세한도의 이야기는 자주 언급되는데 언급될 때 마다 그가, 그의 작품이 보고 싶어 자료를 찾는다. 

논어의 이야기들도 새롭게 다가와 다시 들추고 싶어진다. 어느 동네 어디에 있는 나무가 구체적으로 나오는데 그 나무가 너무 궁금해 미칠지경에 찾게 된다.

나무를 스치고 지나간 이야기들이 한 편 한 편 다른 세계를 열어 주는 문이 된다. 


나무에는 이야기가 열려 있다. 시간뿐만 아니라 인간과 공간이 함게 만들어낸 것이다. 나무에서는 오랜 세월 켜켜이 쌓인 향기가 나다. 바로 문화다. p8


머리말 첫 문장에서 저자가 말했듯 이 책은 나무와 관련된 시간과 공간의 이야기들이 에세이형태 짧은 글을 이룬다. 


저자는 우리가 아는 역사적 인물들, 우리 가까이에서 우리와 이야기를 만들어 준 나무이야기를 들려주는데 책을 읽고 있는 나는 한 편 한 편 읽고 쉬어가며 

나에게 가까이 있었던 나무들을 추억 한다. 

나의 시간속에 공간속에 있던 나무가 다시 다가온다. 학교 담장을 이룬 회화나무, 어릴 때 보고 한 번도 못 본 시디신 깨나무, 뒤 뜰에 대추나무. 엄마가 한 주전자 따다 주던 산딸기, 뽕나무열매까지.


만약 독서동아리에서 이 책을 같이 읽는다면

카톡방에서 매일 매일 한편씩 읽어서 올리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그 날의 이야기에 나오는 인물들, 역사들, 그리고 그 주인공이 되는 나무들을 찾아 서로 공유하면 좋겠다.그리고 함께 모여서 이야기를 나눌 때는 나의 나무들의 이야기를  나누면 나무에 문화꽃이 더욱 만발할 것이다. 

군자의 덕은 바람, 소인의 덕은 풀.
풀 위에 바람아 불면, 바람 부는 방향으로 쓰러진다.
-논어 안연편, 19장 - P1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