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힐
팸 스마이 지음, 고정아 옮김 / 밝은미래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끝나지 않는 그림


손힐, 팸 스마이, 밝은미래, 2018.


  제법 묵직한 책을 펼치면 까만 책장들이 연이어 이어진다. 일러스트가 가미된 책이다. 손힐의 세상은 그림과 일기로 이야기를 펼친다. 일기를 읽다가 그림을 보면 그림과 일기의 내용이 살짝 어긋난다. 등장인물도, 내용도. 곧 접점 지점을 만난다. 그러면 알게 된다. 일기와 그림은 각각 1982년과 2017년의 세상에서 살아가던 소녀의 시선을 담고 있다는 것을.

  그림은, 세상은, 온통 블랙이다. 그림에서 커다랗게 차지하고 있는 어쩌면 저택이라 불러도 될 집, 낡고 부서질 듯한 폐가의 이름이 손힐이다. 정식명칭은 손힐 복지원으로 여자 아이를 위한 보육원이다. 이곳에서 살았던 1982년의 메리는 친구를 원한다. 하지만 메리에겐 마음을 나눌 친구가 없다. 그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보육원이 아이들로부터 왕따를 당하고 괴롭힘 당한다. 특히, 그 애가 있을 때면 더더욱. 자신을 괴롭히는 아이가 손힐로 되돌아왔을 때 그리하여 메리가 가지는 공포와 두려움은 커져간다. 하지만 그 애에게 받은 고통보다 더 사랑받고 이해받고 친구가 되고 싶은 마음이 컸을까. 메리는 친구가 되자는 그 애의 말을 믿는다. 믿는다. 그러나 괴롭힘은 여전하다. 아니, 더욱 심해져간다. 


그들이 소리를 지르며 웃을 때 나는 어둠 속에 누워 있었다. 머리를 바닥에 찧었고 뺨에서 피가 났다. 일어나 앉으려고 했더니 손과 발뒤꿈치에 뾰족한 유리 조각이 느껴졌다. 내 밑에 깔린 게 무엇인지 알 수 없었지만, 그것은 차갑고 끈끈하고 많았다.

“정말로 우리가 너하고 친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 건 아니지?”


  메리는 방안에 틀어박혀 인형을 만든다. 그렇게 메리는 외로움과 고통을 달랜다. 보육원의 교사들, 아이들을 돌보아야 하는 직원들도 더 이상 메리에게, 보육원에 신경 쓰지 않는데다가 운영상의 어려움으로 모두 손힐을 떠나야 한다. 이곳밖에 머물 곳이 없는 아이들에게, 아무도 손힐에서 살아온 아이들에 대해 관심두지 않는다. 메리도 떠나야 한다. 고통스런 그곳을.

  창너머 보이는 손힐, 2017년의 엘라는 그곳에 어른거리는 메리의 존재를 느낀다. 낯선 동네로 이사온 엘라는 언제나 외로이 지낸다. 폐허가 되어 출입금지 푯말이 붙여진 그곳에 찾아들어가고 메리의 일기를 읽는다. 엘라는 엄마와 이별한 상태고 아빠는 언제나 바빠 엘라에게 메모로만 존재하는 대상이다.

  보육원이 부모가 부재한 아이들이 기거하는 곳이라면 엘라 역시 보육원에 있지 않지만 부모가 부재한 상황에 놓여 있다. 부모의 돌봄을 필요로 하고 또래 친구들과 함께 하고픈 욕구를 가진 두 아이, 메리와 엘라에게는 무슨 일이 일어나 걸까.

  “나는 다만 친구를 원했을 뿐이다.”

  메리의 일기장 속 한 줄이 가진 무게. 그림으로 그려지는 손힐의 풍경은 쓸쓸하다 못해 무섭다. 35년이라는 시간 차이가 있지만 1980년대와 2010년대가 전혀 다르지 않은 풍경. 하루에도 수십 건의 또래에 대한 왕따를 넘어선 착취와 폭력 사건들이 일어난다. 하루에도 수십 건 부모는 제 아이에게 폭력을 휘두른다. 무엇에 그렇게 눌려서인지 아이들은 서로를 그렇게 미워하고 공격하고 어른들은 이 모든 상황을 만들어간다. 그것이 아이들이 살아가고 있는 환경이다. 그렇기에 창문 너머로 손힐을 쳐다보는 아이, 그런 아이가 있다는 건 여전히 그런 세상이라는 이야기이고 아마도 그림은 끝이 나지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