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을 잃어버린 시간 - 유동하는 근대 세계에 띄우는 편지
지그문트 바우만 지음, 조은평.강지은 옮김 / 동녘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우리는 결국, 인간이어야만 한다.

 

 

  2012년 최고의 도서로 <피로 사회>를 꼽은 바 있다. 그 책의 저자 한병철은 현대 사회를 '피로 사회'로 규정하며 여러 이론들을 반박함으로써 자신의 주장을 단단하게 독자에게 입력시켰다. 이 책 <고독을 잃어버린 시간>에서  저자 지그문트 바우만은 근대 사회를 '유동하는 사회'라고  규정한다. 사실 우둔한 독자인 나는 두 사람이 말하는 근대와 현대의 차이를 정확하게 구별하지는 못했지만 추측건대 지그문트바우만이 지칭하는 근대의 범위가 한병철이 말하는 현대 사회를 포함하는 말로 이해되었다.

  한병철의 이론을 접했을 때처럼 '유동하는(액체)근대 사회'라는 지그문트 바우만의 규정을 들었을 때 역시 그의 이론에 공감했다. 급변하는 사회,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사회, 아주 작은 변수에도 모양이 달라지는 사회가 바로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이다. 이전의 사회를 견고한 (고체) 사회로 규정하여 비교하여 설명하는 것도 인상적이었다.

   책은 총 44편의 편지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내용이 매우 구체적인 사례와 인용,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그문트 바우만이 말하는 '유동하는 근대 사회'의 특징이 어떤 것인지 아주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저자가 1925년 생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그가 부의 배분, 교육, 탈인간화 등의 문제 뿐만이 아니라 트위터와 인스턴트 섹스, Z세대까지 폭넓고도 시대에 맞게 '유동하는 근대 사회'의 특징을 짚어준 점이 신뢰감이 생겼다. 우리 나라로 치면 이어령 선생님 생각이 좀 나기도 했다.

  개인적으로 저자가 비판적으로 다룬 편지 내용들 중에서 세대 차이와 트위터, 프라이버시, 유행, 문화 엘리트라는 것에 대한 이야기에 공감을 많이 했다. 이 이야기들을 공감하는 데에 있어 기본적으로 계속해서 떠오르는 것은 '인간성 상실'이었다. 35 번째 편지 중에서 원주민의 말처럼 "그게 바로 제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인데 자꾸만 성과를 내게 하고, 스스로를 상품화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은 부인할 수 없지만 씁쓸하기 그지없는 우리의 현재 모습이었다. 저자는 모두가 소비자이자 상품인 근대 사회에 대하여 비판적인 시각을 우리에게 제공한다. 다행스러운 것은 그러한 비판의 끝에 왠지 모르게 희망이 느껴진다는 점이다. 물론, 아주 조금의 희망이지만. 지그문트 바우만은 가능한 희망만을 말할 뿐 헛된 과장된 희망을 품게 하지는 않는다.

책을 읽으며 많은 부분을 옮겨 적고 생각도 짧게 짧게 적어보았다. 얼핏 보면 늘 그 자리에 있지만 세상은 시시각각 변하는 상태이다. 우리가 외면하는 사이 사람은 사라지고 상품만 즐비하다. 개인은 사라지고 집단만 보인다. 개성은 사라지고 욕망만 남는다. 무엇을 위해서 우리는 제품으로 살아가는가 하는 물음이 생긴다. 그것도 그저 그런 제품인 채로 더 나은 인간의 삶이 아니라 더 비싼 제품이 되길 바라는 것인가 하는 자조적인 물음도 나온다. 43 번째 편지에서 저자가 말한 바처럼, '살아간다는 것은 결국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일'이며, '인생이란 의지와 선택의 자유를 부여받은 인간이 만든 예술 작품'이어야 한다는 의견을 따라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결국, 우리는 인간이어야만 하는 것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